안녕하세요. 교통이대리입니다.
과거 원형교차로는 "로터리"형태로 많이 운영됐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통행방법이 헷갈리는 로터리 대신 "회전교차로"로 일원화한다고 정부에서 발표를 했는데요.
로터리와 회전교차로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지선"의 위치입니다.
정지선이 회전차로 내 있으면 로터리, 회전차로 밖에 있으면 회전교차로가 됩니다.
따라서 로터리는 진입하는 차량에 우선권이 있고, 정지선이 있는 회전차로의 차량이 기다려야 됩니다.
반대로 회전교차로는 회전차량에 우선권이 있고, 정지선이 있는 진입차로의 차량이 기다려야 됩니다.
추가적으로 진입하는 차량과 회전하는 차량의 시야와 속도 측면에서 회전교차로의 안정성이 좋습니다.
이제부터 회전교차로를 설계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회전교차로 설계 지침
○ 목적 : 본 지침은 회전교차로의 계획 및 설계에 관한 기본 사항과 세부지침을 정함으로써, 회전교차로를 현장 여건에 맞게 설치하도록 안내하여 교차로의 교통안전과 원활한 교통소통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적용범위 : 본 지침은 회전교차로의 계획 및 설계에 관한 사항이며, 설계 속도가 70km/h 이하인 도로에 적용한다.
○ 구성요소 : 회전교차로는 중앙교통섬, 회전차로, 진입․진출차로, 분리교통섬 등으로 구성된다. 내접원 지름은 중앙교통섬 지름과 회전차로 폭을 포함하며, 중앙교통섬 제원에는 내측 길어깨 폭과 화물차 턱(Truck Apron) 폭이 포함된다.
○ 회전교차로 특징
가. 회전교차로는 진입하는 자동차가 교차로 내 회전차로에서 주행 중인 자동차에게 양보하는 것을 기본원리로 하므로 회전차로 내에서 혼잡이 발생하지 않는다.
나. 회전교차로는 진입하는 자동차가 회전차로에서 주행하는 자동차들 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진입하므로, 일정 수준 교통량 범위에서는 신호제어에 의해 운영되는 신호교차로에 비해 대기시간이 감소되고 용량이 증대된다.
다. 회전교차로는 상충 횟수가 적고 진입속도를 낮게 설계하여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피해 정도가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