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A노선의 사업개요, 노선도, 운행계획, 운임비 그리고 최근 불거지 안전문제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A노선 사업개요

수도권광역급행철도는 2011년 처음 계획이 수립되어 2018년 본격적으로 착공에 들어갔는데요. GTX-A노선은 1기신도시인 일산과 2기신도시인 파주를 연결해서 삼성역까지 20분대 접근이 가능하도록 계획된 노선입니다.

▷ 구간 : 파주~일산~삼성~동탄 간 80.0km, 정거장 10개소

* 삼성~동탄 구간(37.3km)은 수도권고속철도와 연계하여 재정으로 건설중(’17.3∼)

GTX-A 정차역

 

 

총사업비/사업방식 : 2조 9,017억원/BTO 방식

* BTO방식으로 국민들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운영적자를 사업시행자가 전부 부담

 

서비스 수준 : 표정속도 100km/h (현 도시철도는 약 30km/h 수준)

 

 

 

▷ 착공까지의 진행 경위

ㅇ ’11. 4 :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11~’20) 수립(국토부)

ㅇ ’11.12~’14. 2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예비타당성 조사 시행(KDI)

- A노선(일산~삼성) : B/C 1.33, AHP 0.595 로 사업 시행의 타당성 확보

 

ㅇ ’15.12~’17. 3 : 일산~삼성 구간 민자적격성조사 시행(KDI)

- VfM 34~38% 로 민자적격성 확보

 

ㅇ ’16.12~’17.12 : 파주 연장선 예타 및 민자적격성조자 시행(KDI)

- B/C 1.11, AHP 0.550 으로 사업 시행의 타당성 확보

 

ㅇ ’17.12 : 민간투자시설사업기본계획(RFP) 고시

ㅇ '18. 5. 1 : 우선협상대상자 지정

ㅇ ’18. 5~10 : 협상 및 실시설계

ㅇ ’18.10~11 : 실시협약(안) KDI 검토(11.30, 결과 회신)

ㅇ ’18.12.12 : 실시협약(안)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의결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은 지난 12월 12일, 사업시행자 지정 및 실시협약(안)에 대한 민간투자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하였으며, 국토교통부는 12월 13일, 사업시행법인인 ‘에스지레일 주식회사(SGrail(주))’와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동 법인을 사업시행자로 지정했습니다.

- 착공 후에는 용지보상 및 60개월 간의 공사기간을 거쳐 2023년말 개통을 목표로 본격적인 공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ㅇ ’18.12.26 : 실시계획 승인

ㅇ ’18.12.27 : 착공식 개최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A노선도

 

GTX 노선도

 

▷ 수도권광역급행철도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지하 40m 이하 대심도(大深度)의 도심 고속전철(최고속도 180km/h)로, 노선 직선화를 통해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까지 20분대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혁신적인 철도 교통수단입니다.

 

▷ A노선 개통 시, 운정~서울역 20분, 킨텍스~서울역 16분, 동탄~삼성 22분 등 이동시간이 기존 대비 약 70~80% 이상 획기적으로 단축됨으로써, 수도권 주민들의 생활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A 공사시 안전문제는?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 운정역에서 차량기지까지의 입출고선 중 교하지구 8단지와 열병합발전소 부지를 통과하는 구간은 주택 및 발전소 건물 하부를 관통하는 것이 아닙니다.

 

 

 공사 시 지반침하 및 소음․진동 영향은 극히 미미하고, 특히 열병합발전소 부지는 무진동암파쇄공법을 적용하여 진동 영향이 없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지역난방공사 측과 실시설계부터 긴밀히 협의 하에 진행 중입니다.

- 지반침하량은 0.1~0.4mm 예측되나, 허용치 25mm의 0.4%~1.6% 수준

- 소음 : 소음원인 작업구가 주택단지와 790m 이격되어 있어 전혀 영향없음

- 진동 : 공사 시 0.15cm/s, 운영 시 0.02cm/s로 허용치 0.2cm/s 내로 관리

 

 

■ GTX-A노선 운행계획은?

 A노선은 통근 등 광역통행을 빠르고 편리하게 하려는 사업으로서,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을 체결(‘18.12)하면서, 전 구간 1일 100회 이상(편도)의 광역급행열차 운행계획*을 확정하였습니다.

* 운정-수서 구간 1일 141회/일, 수서-동탄 구간 1일 100회/일

 

다만, 고속열차와 광역급행열차가 공용하게 되는 수서~동탄 구간은 평택~오송 고속철도 2복선화 시 고속열차 증편에 대비하여 여유 선로용량을 충분히 확보(고속열차 現 60회/일→최대 101회/일)하였고,

 

 실제 동 구간을 운행하는 고속열차 횟수는 평택~오송 고속철도 2복선화 사업 기본계획 및 열차운행계획 수립 등을 통하여 최종 확정될 계획입니다.

* 평택~오송 고속철도 2복선화 사업은 1.29일 예타 면제사업에 포함되어, 이후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거친 후 기본계획 수립 등 착수 예정입니다.

 

 

GTX 동탄 노선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는 수도권 외곽과 서울 도심의 주요 역사(거점 환승역) 간을 빠른 속도로 연결하는 교통수단으로 기존 도시‧광역철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역 간 거리가 길게 계획된 것입니다.

 

 운임 수준과 배차 간격 등도 기존의 대중교통 수단과 차별화된 고속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과 대체 노선의 존재 등을 감안하여, 합리적 수준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 향후 개통 시점 전까지, 실시협약에 따라 민간사업자와 협의를 통해 운임 징수 방식 등은 조정할 수 있습니다.

운임 비교

- A노선 : 킨텍스~서울역(26.3km, 14) 3,500원 수준
- M-Bus : 대화역~서울역(29.1km, 58) 2,400원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