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통이대리입니다.
매년 한국엔지니어링협회에서 제공하는 엔지니어링업체 임금신태조사 자료가 있는데요. 해당자료에는 교토영향평가 내역서를 만들때 사용되는 엔지니어링 노임단가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2020년 적용될(2019년 공표자료) 엔지니어링 노임단가는 어떻게 될까요?
■ 엔지니어링 임금실태조사
▷ 엔지니어링사업자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실 지급 임금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엔지니어링사업 수행 시 기술자의 노임단가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해당업체 및 유관기관에 제공하고, 엔지니어링사업자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임금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되는 조사입니다.
▷ 엔지니어링기술부문
구분 |
기술부문(전문분야) |
기계/설비 |
기계부문(일반산업기계, 차량, 용접, 금형), 설비부문(설비) |
전 기 |
전기부문(전기설비, 전기전자응용) |
정보통신 |
정보통신부문(정보통신, 정보관리, 철도신호) |
건 설 |
건설부문(도로·공항, 항만·해안, 철도, 교통, 농어업토목, 도시계획, 조경, 구조,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토질·지질, 측량·지적, 품질시험) |
환 경 |
환경부문(대기관리, 수질관리,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자연·토양환경) |
원 자 력 |
원자력부문(원자력·방사선관리, 비파괴검사) |
기 타 |
선박부문(조선), 항공우주부문(항공), 금속부문(금속), 화학부문(화공), 광업부문(자원관리, 광해방지), 농림(농림, 시설원예), 해양·수산(해양), 산업부문(생산관리, 포장·제품디자인, 산업안전, 소방·방재, 가스, 섬유, 나노융합, 체계공학, 프로젝트매니지먼트) |
원자력발전 |
원자력발전(소), 핵연료, 방사선 관리등 원자력산업분야의 엔지니어링활동을 말함. |
산업공장 |
화학비료공장, 무기 약품공장, 유기화학제품공장, 연료 및 윤활유공장, 펄프․제지공장, 고분자제품공장, 전기화학공장, 요업공장, 기계공장, 금속공장, 전기․전자공장, 섬유공장, 수력․화력 등 발전소 및 송배전설비에 관한 엔지니어링활동을 말함. |
건 설 |
토질 및 기초, 농어업토목, 토목구조, 토목품질시험, 항만 및 해안, 도로 및 공항, 철도, 교통,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건축구조, 건축품질시험, 도시계획, 조경, 건설안전, 화약류관리, 건축기계설비, 건축전기설비,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지질 및 지반분야의 엔지니어링활동을 말함. |
기 타 |
상기 3개 분야의 엔지니어링활동에 해당되지 않는 기계, 선박, 항공우주, 금속, 전기․전자, 통신․정보처리, 화학, 섬유, 광업자원, 환경, 농림, 해양․수산, 산업관리, 응용이학 부문의 엔지니어링활동을 말함. |
■ 전체 임금현황
(단위 : 명, 원, %)
기술등급 |
2019년도 조사인원 (추정치) |
2018년도 7월 조사 |
2019년도 7월 조사 |
2018년도 대비 2019년도 증감 |
|
임 금(A) |
임 금(B) |
증감액(B-A) |
증감률(B/A) |
||
기술사 |
7,824 |
368,189 |
372,156 |
3,967 |
1.1 |
특급기술자 |
24,807 |
295,467 |
298,097 |
2,630 |
0.9 |
고급기술자 |
12,159 |
235,522 |
245,822 |
10,300 |
4.4 |
중급기술자 |
8,548 |
212,500 |
220,139 |
7,639 |
3.6 |
초급기술자 |
34,243 |
171,478 |
178,658 |
7,180 |
4.2 |
고급숙련기술자 |
1,364 |
227,743 |
235,350 |
7,607 |
3.3 |
중급숙련기술자 |
1,628 |
209,323 |
217,543 |
8,220 |
3.9 |
초급숙련기술자 |
1,648 |
151,309 |
159,033 |
7,725 |
5.1 |
전 체 |
92,221 |
233,941 |
240,850 |
6,908 |
3.0 |
▷ 전체 평균임금은 240,850원으로 나타났고, 기술등급별로 임금을 보면 기술사 372,156원, 특급기술자 298,097원, 고급기술자 245,822원, 중급기술자 220,139원, 초급기술자 178,658원, 고급숙련기술자 235,350원, 중급숙련기술자 217,543원, 초급숙련기술자 159,033원으로 추정되었습니다.
▷ 2019년에는 전체 임금증감률은 3.0%로 나타났습니다.
▷ 기술등급별 증감액은 기술사 3,967원, 특급기술자 2,630원, 고급기술자 10,300원, 중급기술자 7,639원, 초급기술자 7,180원, 고급숙련기술자 7,607원, 중급숙련기술자 8,220원, 초급숙련기술자 7,725원으로 나타났습니다.
▷ 기술등급별 임금증감률은, 전년대비 기술사 1.1%, 특급기술자 0.9%, 고급기술자 4.4%, 중급기술자 3.6%, 초급기술자 4.2%, 고급숙련기술자 3.3%, 중급숙련기술자 3.9%, 초급숙련기술자 5.1%로 나타났습니다.
▷ 건설업 임금현황
(단위 : 명, 원, %)
기술등급 |
2019년도 조사인원 (추정치) |
2018년도 7월 조사 |
2019년도 7월 조사 |
2018년도 대비 2019년도 증감 |
|
임 금(A) |
임 금(B) |
증감액(B-A) |
증감률(B/A) |
||
기술사 |
5,464 |
367,654 |
369,831 |
2,177 |
0.6 |
특급기술자 |
12,726 |
281,833 |
288,036 |
6,203 |
2.2 |
고급기술자 |
6,812 |
224,061 |
235,682 |
11,622 |
5.2 |
중급기술자 |
3,355 |
207,080 |
219,451 |
12,371 |
6.0 |
초급기술자 |
20,016 |
160,096 |
170,615 |
10,519 |
6.6 |
고급숙련기술자 |
187 |
198,902 |
204,010 |
5,108 |
2.6 |
중급숙련기술자 |
93 |
169,477 |
174,996 |
5,519 |
3.3 |
초급숙련기술자 |
312 |
150,170 |
157,750 |
7,580 |
5.0 |
주) 근무일수 : 22 일 (* 근로기준법 제50조(근로시간) 적용하여 주5일 시행을 가정)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