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수소차 확산을 위해 사업용 수소차에 연료보조금을 지원한다는 소식이 있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업용 수소차 연료보조금 도입방안

 국토교통부는 미세먼지 저감, 그린뉴딜 구현을 통한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목적으로 추진 중인 수소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하여 사업용 수소차(여객, 화물운송 분야)에 대하여 ’22년부터 연료보조금을 도입하기로 하고, 동 내용을 논의하였습니다.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19.1, 관계부처 합동)에 따라 22년 버스 2천대를 시작으로 40까지 사업용 수소차 15만대(버스 4, 택시 8, 화물차 3) 보급목표로 추진 중입니다.

* ‘20.6월 기준 부산 5, 창원 5, 울산 3대 등 총 13대의 수소버스가 운행중이며, 서울에서는 20대의 수소택시가 시범 운행 중임

< 여객화물 수소차 보급목표(누적,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19.1) >

구분

‘22

‘30

‘40

버스

2,000

20,000

40,000

택시

-

10,000

80,000

화물차

-

10,000

30,000

 

우선, 연료보조금 지급대상현행 유가보조금 대상*노선버스 및 전세버스와 택시, 화물차에 모두 적용할 계획입니다.

* 유가보조금 : (경유) 노선버스, 화물차 (CNG) 노선 및 전세버스, (LPG) 택시

- 충전소 구축현황 등을 감안하여 수소차 보급목표(로드맵)맞춰 버스 ‘21년 시범사업(100대이상 추정)을 실시한 후 ’22부터, 택시 화물차는 ‘23부터 연료보조금 제도를 시행합니다.

사업용 수소차 연료보조금 도입 계획

 

 

 연료보조금 지급단가수소차와 기존 차량 간 연료비 차이지급하되, 가장 저렴한 전기차 연료비*를 감안해 산정하는 경우 수소버스 연료보조금은 ’3,500/kg‘(수소가격 8,000/kg 가정, 추후 수소가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수준이며, 향후여객자동차 유가보조금 지급지침개정(’21년초)을 통해 보다 구체화할 계획입니다.

* 수소버스 연료비(615.4/km)는 전기버스(348.6/km)1.8(추정)

** 택시와 화물차는 시범운행, 기술개발 등을 토대로 보조금 단가 산정(’22) 필요

- 보조금 지급단가는 실제 수소가격 추이 및 택시, 화물차 등 상용화 등을 고려하여 2년마다 주기적으로 조정할 계획

 

 연료보조금 재원은 현행 유가보조금과 동일하게 자동차세 주행분* 활용합니다.

* 자동차세 주행분 : 교통에너지환경세액의 26%를 경유, 휘발유 등에 부과

- 연료보조금 지급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금년도 하반기에 여객자동차 및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개정할 계획

 

연료보조금 지급방식은 현행 유가보조금과 동일하게 유류구매카드 결제 후 보조금 차감 및 대금이 청구되는 방식을 적용합니다.

- 차량별 RFID 카드(충전내역 실시간 기록 관리) 장착 의무화, 경찰청 등 행정시스템 연계를 강화하여 부적격자의 보조금 지급을 차단하는 등의 방식으로 보조금 부정수급을 원천차단할 계획

 

수소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도 추진합니다.

 

이미 지난 해 12월부터 수소버스 도입 시 시내버스 운송사업면허 기준을 완화(면허대수 산정시 수소버스에 1.3배 가중치)하여 시행중이고, 수소택시 부제(의무휴업) 면제, 신규허가가 가능한 수소 화물차의 톤급 범위(최대 적재량, 현재 1.5톤 미만) 확대 등도 검토할 예정입니다.

 

또한, 물류기지, 버스 공영차고지, 고속도로 휴게소 등 주요 교통거점 중심으로 수소충전소를 구축함으로써, 사업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수소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