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진접, 별내, 다산을 거쳐 구리시를 지나 서울 강동구 암사역으로 연결되는 지하철 8호선 연장 라인 "별내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수도권 동북부 철도망

 

■ 개요 : 별내선(암사~별내) 복선전철 건설사업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수택동, 교문동, 인창동, 사노동, 남양주시 도농동, 진건읍 배양리, 별내동

나. 규모 : 연장 12.91(정거장 6개소, 환기구 19개소 등)

다. 사업종류 : 광역·도시철도사업

라. 사업기간 : 201512202212

 

■ 광역급행철도를 간선축으로 철도중심의 대중교통망 확보

수도권 동북부 광역철도 개발계획

▷ 광역교통2030 개발계획을 참고해 보면 수도권 동북부 교통개발계획의 중심은 구리시와 남양주시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먼저 가장 유명한 GTX-B라인과 C라인이 청량리역을 지나고, 그중 B라인은 남양주시를 관통하는데요. 지금 소개하고 있는 "별내선"이 GTX-B라인과 환승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 구리시 별내선 운영 기본계획 수립으로 사업진행 박차

별내선 구리시 기본계획

앞서 얘기한 내용처럼 서울지하철 8호선 연장선인 별내선(암사~별내)은 건설 구간의 상당 부분이 구리시에 걸쳐있습니다. 그중 정거장(역) 설치도 구리시가 3곳으로 가장 많고 나머지는 남양주 2곳, 서울 1곳입니다.

 이런 만큼 구리시에 예상되는 운영비 분담 등 운영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게 제기되고 있습니다.

 

 별내선 건설은 서울시(1~2공구)와 경기도(3~6공구)가 함께 시행하고 있다. 2015년 12월 구리시 구리광장에서 기공식 이후 이제 5년째로 접어들었습니다.

 서울시가 지난해 12월 한강을 지하로 관통하는 ‘하저터널’ 공사에 착수했으나, 경기도보다 뒤늦게 2017년 8~9월 이르러서야 1~2공구 공사에 들어가 빨라야 2023년 개통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습니다.

 

 

■ 별내선 공정률 50% 근접

지하철 8호선 연장 별내선 노선도

 

▷ 6개 공구별로 먼저 서울시의 경우 1공구(1.18㎞) 39.9%와 2공구(2.54㎞) 39.4%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는 3공구(2.38㎞) 36.1%, 4공구(2.56㎞) 48.9%, 5공구(1.77㎞) 66.1%, 6공구(2.38㎞) 59.0% 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1~2공구 공사에 들어가면서 2023년 9월 준공을 예정한 바 있고, 경기도가 이보다 앞선 2022년 말까지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과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대광위), 서울시와 함께 지난해 7월부터 통합공정회의를 운영 중이며, 이를 통해 서울시의 준공 시점을 앞당긴다는 방침입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