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버스노조 파업으로 인해 시민들의 발길이 묶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요.

또한 버스회사 대표들은 재정운영을 불투명하게 하면서 수많은 비리와 부정부패를 저지르는데요.

이밖에도 버스 교통사고, 행정처분 건수, 차량 안전실태 부적격 등 "수입금 공동관리 준공영제" 버스 운영방식의 단점이 부각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이런 버스 준공영제 운영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할 "경기도 공공버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수입금 공동관리 준공영제 : 현제 버스 준공영제

민간이 노선 소유권과 운영을 맡고 공공이 적자에 대해 표준운송원가를 기준으로 재정을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2018년 4월 도입돼 현재 14개 시군에서 71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습니다.

수입금 공동관리 준공영제는 그동안 1일 2교대제 확립과 운행횟수 준수율 향상 등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나 버스업체가 영구 면허를 소유해 재산권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고, 안전 및 서비스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켰습니다.

 

 이에 경기도는 2021년까지 전체 광역버스 노선 81%(206개노선)을 경기도 공공버스제로 전환합니다. 

 

■ 경기도 공공버스

 전국 최초로 시행하고 있는 노선입찰제 기반의 운영체제로 기존 민영제와는 달리 공공이 노선권을 소유하고, 입찰경쟁을 통해 선정된 민간 운송 사업자에게 일정 기간 버스 노선 운영권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올해 3월부터 사업을 개시해 현재 16개 노선 120대가 운행 중입니다. 

 

 경기도는 공공버스 확대로 독점적 인·면허 관행을 타파하고 공정한 경쟁을 통해 업체를 선정하여 서비스 평가를 통한 면허관리와 투명한 재정 지원으로 교통 서비스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공공주도의 노선계획을 통해 급행노선을 운행하고 초기 신도시 지역에 선제적 노선 투입 등 도민 요구를 반영한 노선 운영에 초점을 둘 방침입니다.

 

■ 경기도 공공버스 운영 확대

경기도는 도민들에게 안정적인 교통 서비스 제공을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 일부 광역버스 노선에 적용하고 있는 ‘수입금 공동관리 준공영제’를 중단하고 공정한 경쟁과 투명한 재정 지원으로 운행되는 경기도 공공버스를 대폭 확대 운영할 예정입니다.

 

 경기도는 254개 노선의 광역버스 운영 체계를 ‘공공버스’로 전환하고, 올 하반기까지 점유율을 55%(140개 노선), 오는 2021년까지 81%(206개 노선)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지난 5월 도내 광역버스 업체의 94%가 보유 노선에 대한 재산권을 포기하고 공공버스 제도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는데요. 이에 경기도는 시·군과 협약을 맺고 올 한 해 115개 노선 1,210대를 모두 공공버스로 전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