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에서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3기 신도시 남양주왕숙, 하남교산, 인천계양, 고양창릉, 부천대장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에 30만호 공급계획을 발표했는데요.
이번에는 수도권 어디에 30만호가 공급되고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수도권 30만호 공급 : 3기 신도시, 중소규모 도시, 도심형 주택공급
▷ 지자체등의 협의를 거쳐 3기 신도시 5곳(남양주왕숙, 하남교산, 인천계양, 고양창릉, 부천대장)을 발표했습니다.
구분 |
3차 발표 |
2차 발표(12.19) |
|||
고양창릉 |
부천대장 |
남양주왕숙 |
하남교산 |
인천계양 |
|
면적 |
813만m2 |
343만m2 |
1,134만m2 |
649만m2 |
335만m2 |
호수 |
3.8만호 |
2.0만호 |
6.6만호 |
3.2만호 |
1.7만호 |
권역 |
서부권 |
동부권 |
서부권 |

▷ 중소규모의 도심 국공유지, 유휴 군부지 등 26곳에 5.2만호를 서울 및 경기도에 공급할 계획입니다.
- 서울권 지구(1만호)는 대부분 역세권에 위치하여 대중교통 이용편리
* 사당역 복합환승센터(1.2천호), 창동역 복합환승센터(3백호), 왕십리역 철도부지(3백호) 등
- 경기권 지구(4.2만호)는 지구 내(인근) 지하철역이 있거나 신설 계획
* 안산장상(신안산선 신설역), 용인구성역(분당선 구성역, GTX-A 신설역), 안양인덕원(4호선 인덕원역) 등


▷ 도심형 주택공급 방안과 대상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하철역 복합개발 방식 : 사당역 복합환승센터(1.2천), 창동역 복합환승센터 및 창업‧문화산업단지(0.5천) 등

- 도심 공공부지 활용 방식 : 성남 공영주차장(0.4천) 및 유휴 도로부지 활용(0.3천), 마곡 R&D센터 도전숙(SH, 0.2천), 주차장 부지(SH, 항동·고덕강일 0.2천), 구의자양동(SH 등, 1.4천), 왕십리역 등(코레일, 0.8천)

- 군 유휴부지 활용 방식 : 대방동 군부지(1천호), 관악구 군관사 2곳(1.2천호)

- 공공시설 복합화 방식 : 사당4동 주민센터, 중랑구 망우동 공영주차장 등(1.5천)



■ 3기 신도시 개발 방향
1. 서울 도심까지 30분내 출퇴근 가능한 위치
▷ 서울 접근성이 양호한 곳에 입지(3기 신도시 서울부터 평균거리 : 1km 대)
▷ 지구지정 제안단계부터 지하철 연장, Super-BRT 등 교통대책 마련
* 기존 주민들도 혜택을 보는 방향으로 노선ㆍ역 신설 계획
▷ 입주 시 교통 불편이 없도록 대광위와 함께 교통대책 조기 추진
2. 일자리를 만드는 도시
▷ 기존 신도시 대비 2배 수준의 자족용지 확보(주택용지의 2/3 이상)
▷ 스타트업 육성 등을 위해 기업지원허브, 창업지원주택 등도 공급
3. 자녀 키우기 좋고 친환경적인 도시
▷ 모든 아파트단지에 국공립 어린이집 계획, 유치원도 100% 국공립 운영
▷ 전체면적 1/3 이상을 공원 등으로 조성하고 복합커뮤니티센터 설치
▷ 제로에너지 타운, 수소BRT(수소충전소) 등 친환경·에너지 자립도시 조성
4. 전문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만드는 도시
▷ 지자체는 지방공사를 통해 참여하고 전문가 신도시 포럼*도 운영
* 도시·건축, 교통, 스마트시티, 환경, 일자리, 교육·문화 등 6개 분과에 40여명 참여
▷ 총괄건축가, 3D계획*을 통해 도시 디자인을 높이고 스마트시티로 조성
* 평면적 계획(2D)에서 벗어나 설계공모를 통해 입체적인 도시 마스터플랜 수립
▷ 원도심도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도시재생사업 지원(공모시 가점)
■ 3기 신도시 및 주택공급 분양계획
▷ 중소규모 택지는 ’20년부터 입주자모집(분양) 개시할 예정입니다.
* 19년 순차적으로 주택사업승인 등을 거쳐 ’20년부터 모집
▷ 신도시는 ’22년부터 순차적으로 입주자모집(분양) 개시할 예정입니다.
* ‘20년 지구지정, ’21년 지구계획 등을 거쳐 ‘22년부터 모집
< 수도권 주택 30만호 연도별 입주자모집 계획(만호, 변동가능) >
구 분 |
계 |
’22년까지 |
’23년 |
’24년 |
’25년 |
’26년이후 |
주택수 |
30 |
7.0 |
6.7 |
5.8 |
6.1 |
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