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대리입니다. 이번에는 대구·경북 도시 간 연계성 확보 및 교통불편 해소를 위해 개발계획중인 대구권 광역철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서대구역 조감도

■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 개요 및 추진과정

 사업내용 : 경부선 구미~경산간 61.85km 기존선 활용 광역철도
노선계획 : 신설역 2개소(사곡, 서대구), 기존역 개량 5개소(구미, 왜관, 대구, 동대구, 경산)

대구권 광역철도 노선

 

 

 사업기간 : 2015년~2023년
 총사업비 : 963억원
 추진현황
‘19. 12월말 누계 공정율 26.4%
‘20년 기존역 개량 건축, 노반공사 진행 중
 추진실적
‘14. 1~‘15. 7 : 예비타당성조사 (KDI, B/C=1.00, AHP=0.517)
‘15. 8.24 : 광역철도 지정 고시(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602호)
‘15.10~‘16.11 :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국토교통부, B/C=1.06)
‘16.11.23 : 기본계획 고시(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729호)
‘17. 1. : 노반 실시설계 착수
‘17. 6. : 전분야 실시설계 착수
‘18. 12. : 실시설계 완료 및 공사발주
‘19. 2. 26 : 사업실시계획 승인(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75호)
‘19. 3. : 공사 착수

 

대구권 광역철도 노선도

 


 「대구권 광역철도」건설 사업의 추진에 따라 대구·경북의 도시 간 연계성 확보와 상생협력으로 대구광역경제권이 더욱 활성화되어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철도주변 산업단지 종사자와 지역 주민들에게 교통편의를 제공하여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구미, 칠곡, 대구, 경산을 수도권 1호선과 같이 광역철도로 연결하여 도시간 연계성이 강화하고, 하나의 생활권으로 만들어 대구·경북 경제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광역철도 정차역중 하나인 서대구역 건설과 연계하여 대구시 서부지역의 개발촉진과 서·남부지역 산업단지들의 철도교통 접근성을 향상시켜 지역균형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