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대리입니다. 무려 25년 만에 수원과 인천을 잇는 수인선 전 구간이 완전 개통했다는 소식인데요. 이번에는 수인선의 노선과 향후 KTX 연계 방안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수인선 25년만에 완전 개통
▷ 수인선은 역사적으로도 뜻깊은 사업인데요. 일제 수탈을 상징하는 우리나라의 마지막 협궤철도(철도 궤간(軌間)의 폭이 표준궤도(1435㎜)보다 좁은 궤도(762㎜))를 표준궤도의 광역철도로 개량하는 수인선 사업은 총사업비 2조 74억 원이 투입된 국책사업입니다.
▷ 1995년 7월부터 2004년 5월까지 기본계획 및 설계용역을 거쳤으며, 2004년 12월 1단계 구간 공사를 시작하였습니다.
▷ 2012년 6월 가장 먼저 개통한 1단계 구간은 오이도~송도를 잇는 13.1km 구간이며, 2016년 2월에 개통한 2단계 구간은 인천~송도(7.3㎞)를 거쳐 오이도역까지 총 20.7km 14개 역을 운행해왔으며, 하루 평균 약 3만 5천 명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수원~한대앞 구간의 개통으로 기존 협궤 노선 폐선(1995년 12월) 이후 25년 만에 처음으로 수원과 인천 구간이 하나의 철도로 연결됩니다.
■ 수인선 운행 정보
▷ 수원~한대앞 개통으로 수인선(수원~인천)은 분당선(수원~분당~왕십리ㆍ청량리)과 직결하여 전철이 운행됩니다. 수인선ㆍ분당선 직결 시 총 운행거리가 108km 달해 수도권 전철 노선 중 3번째로 긴 노선이 탄생하였습니다.
※ 수인선(수원~인천) 52.8km+분당선(수원~왕십리) 52.9km+경원선(왕십리~청량리) 2.4km = 108.1km
※ 경부선(1호선, 소요산∼신창) : 166.7km, 경의ㆍ중앙선(임진강∼지평) : 128km
▷ 수인선ㆍ분당선은 6칸 전동열차를 운행할 계획으로 직결운행 횟수는 평일 96회(상행 48회, 하행 48회), 휴일 70회(상행 35회ㆍ하행 35회)이고, 영업시간은 05:36~00:17분까지입니다. (수원역 하행 기준)
※ 출·퇴근 시에는 평균 20분, 그 외 시간에는 평균 25분 시격 수준으로 운행
▷ 수인선이 전 구간 개통되면 인천 및 경기 서남부지역(시흥ㆍ안산ㆍ화성ㆍ수원)에서 경기 동부지역(용인ㆍ성남 등)간 이동이 편리해지고, 주요 거점역인 수원역(KTX, 경부선 일반철도, 1호선, 분당선 이용 가능)으로 가는 거리와 시간이 모두 크게 줄어듭니다.
▷ 지금까지는 인천, 시흥, 안산, 화성에서 수원역까지 전철망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버스를 이용하거나, 금정역 및 구로역까지 이동하여 1호선으로 환승해야 했는데요.
▷ 그러나, 수인선의 개통으로 인천역에서 수원역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왕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기존 : 인천(1호선) → 구로 → 수원(1호선) : 90분 소요
※ 변경 : 인천 → 수원 : 70분 소요
■ 수인선 노선도와 GTX B 노선환승계획
▷ GTX B노선은 송도를 시작으로 서울역, 청량리, 남양주 마석을 잇는 광역철도 인데요. 수인선 어천역에서 KTX노선과 환승을 할것으로 예상됩니다.
「 GTX B 노선 개요」
▷ 사업구간 : 인천 송도∼남양주 마석 간 80.1km*, 정거장 13개소(송도~서울역~청량리~마석)
※ 송도∼망우 간 55.1km 신규 건설, 망우∼마석 구간은 경춘선 공용
▷ 총사업비 : 5조 7,351억원(예비타당성조사 시나리오2 기준)
▷ 운행속도 : 표정속도 약 100km/h, 최고속도 180km/h
▷ 사업추진 방식이 결정되고, 설계 등 후속절차가 차질 없이 추진되는 경우, 이르면 ’22년말 공사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것으로 수인선 완전개통소식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앞으로 수도권은 수많은 철도 노선으로 1시간 생활권이 된다고 하니 앞으로도 다양한 개발소식 기대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