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대리입니다. 지난 12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심의를 통해 남양주왕숙의 광역교통개선대책이 확정됐는데요. 주요 내용으로 서울 도심까지 30분대 출퇴근이 가능한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투자를 확대한다는 내용이였습니다. 자세한 왕숙신도시(왕숙지구)의 교통대책(GTX노선 등)이 어떻게 계획되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남양주 왕숙신도시는?
○ 남양주 왕숙신도시는 왕숙1, 2지구가 있으며, 개요는 아래와 같습니다.
-
위치 : 남양주시 진접읍, 진건읍 일원(왕숙), 일패동, 이패동 일원(왕숙2)
-
면적 : 11,337천㎡(왕숙:8,890천㎡,왕숙2:2,447천㎡)
-
호수 : 66,000호(왕숙1:53천호, 왕숙2:13천호)
-
베드타운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약 140만㎡ (판교 테크노밸리의 2배)에 달하는 자족 시설 용지를 확보하여, 기업 유치와 기업지원 허브 조성을 통한 약 16만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왕숙 1지구'에는 사물인터넷, R&D 단지 등 첨단산업기업을 유치하는 도시첨단산업기업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
'왕숙 2지구'에는 청년문화공간, 문화예술컨벤션센터 등과 연계하는 복합전시산업을 육성할 계획입니다.
■ 남양주 왕숙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 서울 강동~하남~남양주 도시철도 등 18개 사업에 총 2조 3천억 투입
○ 철도 개발계획
▷ 남양주왕숙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의 ㉱대중교통 핵심사업은 남양주에서 서울 등 주요 도시권을 연결하는 서울 강동~하남~남양주간 도시철도이며, 2028년까지 개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사업지구 내부로는 입주민의 철도이용 편의를 위해 경춘선 역사(GTX-B 정차) 및 ㉰경의중앙선 역사를 신설할 계획입니다.
▷ 지역 전체로는, ㉮별내선과 진접선을 잇는 별내선 연장 사업에 비용을 분담하고, ㉲상봉~마석 간 셔틀열차를 운행해 주변 지역과 상생할 수 있는 철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버스 개발계획
▷ 또한, ㉳광역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해 남양주~서울 간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강변북로 대중교통개선 사업*을 반영하였습니다.
* Moveable barier 방식의 역류가변 중앙분리대를 활용한 BTX(Bus Transit eXpres)를 구축, 오전 출근 시 왕숙지구~강변역까지 약 30분 단축 가합니다.
○ 도로 개발계획
▷ 남양주왕숙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의 도로교통 개선부분은, 한강변 도로망의 교통수요 분산 등을 위해 한강교량 신설①-A을 추진하며, 이와 연계하여 올림픽대로(강일IC~선동IC, 암사IC ~ 강동IC)를 확장①-B ③-1하고 강일IC 우회도로를 신설③-2하는 계획입니다.
▷ 또한, 상습정체구간인 북부간선도로(중랑IC~구리IC)⑨와 경춘북로 (퇴계원 시가지)⑧ 및 구국도46호선(왕숙2~금곡동)을 확장⑦하여 남양주~서울방면의 원활한 교통소통을 도모하였습니다.
▷ 또한, 주변 지구와의 이동성 제고를 위해 지방도383호선② 및 진관교(왕숙~퇴계원) 확장④을 추진하는 한편, 왕숙2~양정역세권⑤과 왕숙2~다산지구⑥간 도로를 설치하여 주변 지구간 편리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였습니다.
▷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시행되면 주요 통행시간이 서울역방면 45→25분, 강남역방면 70→45분으로 단축되고 북부간선도로,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등 기존 도로의 교통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남양주 왕숙신도시 도시철도 사업노선은?
▷ 아직 왕숙신도시의 도시철도 노선 및 역사 위치(2020년 12월 기준)는 결정된 바가 없으며, 기본 계획 및 설계등 후속절차 추진과정에서 결정될 예정입니다.
▷ 현재까지 발표된 왕속신도시의 교통개발계획 핵심인 GTX-B노선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 GTX-B노선은 인천 송도와 남양주 마석을 연결하는 광역철도 이며, 정거장은 13개소(주요 정거장은 송도, 여의도, 서울역, 별내 등)가 신설될 예정입니다.
▷ 이번에 3기 신도시인 왕숙신도시(1지구) 내에도 마석과 별내를 잇는 GTX 역사가 신설계획이 확정되면서 앞으로 왕숙신도시는 수도권 신도시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 이번에는 3기 신도시중 가장 수용인원이 많은 왕숙신도시의 광역교통개선대책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앞으로도 3기 신도시 및 각종 도시, 교통개발계획 등을 발빠르고 정확하게 소개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