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 해 코로나로 인해 실물경제가 급속도로 나빠지면서 퇴사하신 분들이 많이 계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퇴사하신 분들의 연말정산은 어떻게 진행해야 될까요? 직장을 다니고 있을 때에는 회사에 서류만 제출했으면 됐는데, 퇴사 후에는 연말정산을 혼자 처음으로 해봐야 하는 상황이라 모르는 게 많으실 텐데요. 

 

 ○ 연중에 퇴사하고 다른 곳으로 이직한 퇴사자분들의 연말정산 방법은?

 ○ 연중에 퇴사하고 다른 곳으로 이직하지 않으신 퇴사자분들의 연말정산 방법은?

 ○ 중도 퇴사자의 세액환급을 받을 수 있는 시기는?

 

이번에는 중도 퇴사자 분들을 위한 연말정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중에 퇴사하고 같은해 다른 곳으로 이직한 상태라면?

▷ 먼저 2020년 퇴사를 하신 후 같은 해 재취업을 하셨다면 당연히 연말정산 대상자에 해당됩니다. 이직자는 연말정산 자료(소득공제 및 세액공제자료)와 직장 퇴사 시에 수령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현재 이직한 직장에 제출하고 연말정산을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12월 31일 최종 근무지에서 이전 근무지 근로소득을 합산해 연말정산을 하게 될텐데요. 이직을 염두해 두고 퇴사를 하신다면 직장에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지급명세서)"를 발급받고 나오셔야 합니다.

 

 

 

연중에 퇴사하고 같은해 다른 곳으로 취직하지 않은 상태라면?

퇴사 후 구직 중이시라면 연말정산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원칙적으로는 중도 퇴사를 할 경우 회사에서 퇴직하는 달의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 간략히 퇴직자 연말정산을 합니다. 

 

하지만 퇴사할 때는 연말정산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채로 퇴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회사에서는 기본공제만을 적용해 연말정산을 한 뒤, 마지막 월급을 지급하는데 그 때문에 스스로 보험료나 의료비, 신용카드 등의 공제를 챙겨야 하는 상황이 발생됩니다.

 

공제받지 못한 것은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직접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때 전에 다니던 직장의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전 직장에서 신고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과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내역을 확인하신 후 소득세를 신고하시면 됩니다.

 

▷ 올해부터는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를 이용하실 때 불편한 공인인증서 대신 삼성패스로도 인증을 쉽게 하실 수 있으니 관련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삼성패스PASS로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5초컷 (tistory.com)

 

삼성패스PASS로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5초컷

바야흐로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1월 15일부터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2021년 연말정산은 불편했던 공인인증서만 사용할 수 있는게 아니라, 삼성패스, 카카오톡 등으

suby33.tistory.com

 

 

중도 퇴사자의 세액환급을 받는 시기는?

▷ 앞에 설명처럼 5월 종합소득세 신고 후 환급이 있다면 7월 경에 환급을 받으 실 수 있습니다.

 

 

▷ 만약 퇴사하시면서 수령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의 결정세액란에 결정세액이 "0"인 경우 추가로 환급되는 세액이 없으므로 확정신고를 따로 안하셔도 됩니다. 

 

▷ 근무기간만 공제 가능한 항목과 무관한 항목을 체크하시는 게 좋습니다.

 

 연말정산은 근로를 제공한 동안만 공제를 하는것이 원칙이라 중도 퇴사한 근로자분들은 근무기간을 지정하여 공제자료를 조회하셔서, 근로기간을 잘 못 계산 해 과다 공제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이것으로 중도 퇴직자들을 위한 연말정산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