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정책형 뉴딜펀드 운용사 선정, 국민참여 뉴딜펀드 출시 등 최대 4조원 규모의 정책형 뉴딜펀드 조성 및 뉴딜 인프라펀드 육성 등을 추진중에 있습니다. 이번에는 정책형 뉴딜펀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①정책형 뉴딜펀드의 주요경과

    ▷ 현재 정책형 뉴딜펀드는 재정·정책자금을 마중물로 뉴딜분야 기업, 인프라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 위하여 조성 추진중에 있습니다.

     

     

     

     

     

    - ’21년중 펀드조성에 참여할 정부 예산 5,100억 원 확정(’20.12.2)

    - 산업계·금융계 의견을 수렴하여 펀드 투자대상 선별·자산운용 등에 활용하기 위한 ‘뉴딜투자 공동기준*’을 확정(’20.12.4)

    - 뉴딜펀드에 대한 사업자, 투자자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뉴딜 분야별 관계부처 투자설명회 총7회 개최(’20.11~’21.3)

     

     

    ▷ 정책형 뉴딜펀드의 신속한 결성과 투자성과 창출을 위해 산업·금융계 뉴딜투자협력 업무협약*(MOU) 체결(’21.2.4)하였습니다. 또한 ’21년 조성 목표금액인 최대 4조 원 중 3조 원에 대한 「정책형 뉴딜펀드」의 자펀드 운용사 선정하였습니다.

     

    ▷ 한국판 뉴딜펀드에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성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국민참여 뉴딜펀드 출시하였습니다.

    - 펀드구조 : 소부장펀드와 유사하게 일반국민 참여*(1,400억 원) 및 재정(600억 원)으로 2,000억 원 조성 ⇒ 자펀드 10개에 분산투자

    - 위험부담 : 정부재정 600억 원 중 400억 원을 후순위로 투자하여 펀드자산 20%에 대해 위험분담

    - 펀드운용 : 자펀드 운용사 9개사가 총 10개, 평균 200억 원 규모 자펀드를 운용하여 상장기업 또는 상장예비기업에 투자

    - 국민판매 : ’21.3.29일부터 4.16일까지 3주간 일반국민 대상으로 판매

    정책형 뉴딜펀드 구조 및 투자 대상

    ▷ 뉴딜펀드 구조 : 5년간 20조 원을 조성하며, ’21년도에는 민간투자자금 매칭을 통해 “최대 4조 원을 목표”로 펀드 조성 추진

    - 재정·정책자금은 펀드재원의 약 33% 수준으로 재정 출자분(5,100억 원), 산업은행, 성장사다리펀드 자금으로 조달

    - 민간투자자금중 일부는 일반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사모재간접공모펀드*를 조성하여 마련

    ▷ 투자 대상 : 이미 운용중인 「혁신성장 공동기준」을 토대로 40개 분야를 투자대상으로 선정하고, 200개 품목을 사례로 제시

    - 투자대상(기업, 프로젝트 등)이 뉴딜투자 공동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는 물론, 전·후방산업에도 투자하도록 하여 뉴딜생태계에 폭넓게 투자 유도

     

    ③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 장기투자 : 산업 성숙도가 낮고 자금회수기간이 긴 뉴딜분야에 투자하는 경우, 여타 정책형 펀드*보다 운용기간 장기화를 허용

    - 펀드 운용기간은 10년까지 허용

    - 투자분야·투자전략 등을 감안하여 장기투자가 필요한 분야는 최대 20년(인프라 펀드)까지 설정 가능

     

     

     

     

     

     

     

     

    ▷ 인센티브 : 민간투자자의 정책형 뉴딜펀드 참여 확대를 유도하기 위하여 펀드 손익 배분 시 선택 가능한 인센티브를 부여

    - 운용사에게는 뉴딜분야 투자 활성화를 위해 펀드별로 뉴딜분야 투자실적 비율이 높을수록 인센티브 부여

     

    ▷ 투자 위험도가 높아 민간자금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기에 부담이 큰 뉴딜분야 투자를 제안·시도하는 펀드 운용사 우대

    - 투자 필요성과 위험도 등을 고려하여 정책출자비율 상향조정
    - 리스크가 큰 분야에 대해서는 성과보수 지급의 기준이 되는 기준수익률(hurdle rate)을 하향조정
    - 자펀드 운용사 선정 심사 시, 뉴딜정책과의 정합성, 투자제안·운용전략의 혁신성 등이 우수할 경우 우대

     

    ④정책형 뉴딜펀드 향후 일정

    ▷ 금년 중 최대 4조 원* 규모 자펀드 결성 추진

    - 4월 : 1조 원 규모 자펀드 위탁운용사 모집공고 (산은·성장금융), 투자자-운용사-투자기업 간 정보허브 구축* (산은·성장금융)

    - 5월 : 위탁운용사 제안서 제출 (자펀드 운용사)

    - 6월 : 위탁운용사 서류심사, 제안심사 후 선정 (산은·성장금융

    - ~ 12월 : 4조 원 규모 자펀드 순차 결성·투자개시 (자펀드 운용사

    - 12월 : ’22년도 뉴딜펀드 조성을 위한 정부예산 확정 (국회)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