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을 차리는 것은 지방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많이 알려져 있는 원칙은 비슷합니다.

코로나로 피해가 심한 지난해의 악운을 이겨내고

새해 건강과 복을 기원하며

본격적으로 차례상 차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차례상의 동, 서, 남, 북 ]

차례상에서는 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가 있는 쪽을

차례상의 남쪽으로 보고

이 기준으로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을 가리킵니다.

 

 

차례상 동서남북

[ 차례상의 열 ]

 차례상은 보통 차릴 때에는 총 5열로 차리는데요.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가장 앞 줄,

다시 말해 신위에서 가장 먼 줄이 다섯 번째 줄 5열입니다.

주로 5열에는 과일류가 진설(陳設)되며

대추, 밤, 배, 감, 사과, 한과류를 올립니다.

차례상 5열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두 번째 줄 4열에는 

포, 나물, 간장, 나박김치, 식혜가 올라갑니다.

지역에 따라 포, 식혜는 3열 또는 4열에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례상 4열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세 번째 줄 3열에는

육탕(육류), 소탕(두부, 채소류), 어탕(어패류) 등 3가지 종류의 탕을 올립니다.

지역에 따라 적(구이)이 2열 또는 3열에 올리는 경우있으며,

3열에는 양쪽으로 촛대를 올린다.

차례상 3열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두 번째 줄 2열에는

서쪽에서부터 육전(기름에 부친 전),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두부 부친 것),

어적(생선 구운 것), 어전(기름에 부친 것)을 올립니다.

지역에 따라 2열에는 면, 탕, 떡, 간장이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례상 2열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가장 마지막 줄,

다시 말해 신위에서 가장 가까운 줄이 첫 번째 줄 1열입니다.

 

 

주로 1열에는 수저, 밥, 잔, 국을 올리며,

지역에 따라 1열에는 메(밥), 갱(국), 숭늉을 올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명절에 따라 떡(추석에는 송편)을 올립니다.

설날 차례상 진설의 경우는 1열에 메(밥), 갱(국) 대신에 떡국을 올리며,

다른 열은 추석 차례상 진설과 동일합니다.

차례상 1열


[ 차례상에 올리면 안되는 음식 ]

차례상에는 올리면 안 되는 음식이 있습니다.

삼치, 꽁치, 갈치 등 ‘치’자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습니다.

‘치’로 끝나는 생선은 흔하고 값이 저렴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입니다.

복숭아와 같이 털이 있는 과일은

조상님의 혼령을 쫓는다는 이유로 올리지 않습니다.

또한 고추가루와 같은 붉은 양념은 쓰지 않으며,

강한 향신료인 마늘 양념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의 간은 간장 대신 소금으로 하며,

맵거나 자극적이지 않게 합니다.

마지막으로 붉은색 팥고물 대신 흰 앙금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차례상에 올리면 안되는 음식

[ 차례의 순서 ]

차례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강신 (降神 조상님을 맞이한다)

제주(장자 또는 장손)가 앞에 나아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차례를 돕는 사람)가 술을 따라주면 

쌀을 담아둔 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제주가 2번 절합니다.

 

2. 참신 (參神 조상님께 인사를 드린다)

차례에 참석한 모든 가족이 두 번 절을 하는데, 

음양의 원리에 따라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하기도 합니다.

 

3. 헌작 (獻酌 조상님께 잔을 올린다)

각 신위마다 잔을 올려야 하며

제주가 직접 바로 술을 따르거나 집사자가 따라주기도 합니다.

 

4. 계반삽시 (啓飯揷匙 조상님의 식사를 돕는다)

메(밥)의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은 적(구이)이나 편에 올려놓습니다.

설날 때에는 떡국에 숟가락을 올려놓고,

추석 때에는 송편에 젓가락을 올려놓습니다.

 

5. 합문 (闔門 조상님이 식사하실 시간을 드린다)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은 밖으로 나가 문을 닫으며,

어쩔 수 없는 경우 모두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립니다.

 

6. 철시복반 (撤匙復飯 음식 뚜껑을 덮는다)

숟가락을 거두고 음식의 뚜껑을 닫습니다.

추석 때에는 송편에 올려 놓은 젓가락을 내립니다.

 

7. 사신 (辭神 모셨던 조상님을 배웅한다)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은 모두 두 번 절합니다.

이때도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을 하기도 합니다.

절을 한 후, 차례에 사용했던 지방과 축문을 불사릅니다.

 

8. 철상 (撤床 차례 음식과 도구를 정리한다)

음복 (飮福 조상님께서 남기신 음식을 나눠 먹는다)

차례 음식과 차례 도구를 뒤에서부터 거두어 정리합니다.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이 음복주와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덕을 기립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