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칩은 봄의 3번째 절기로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다'라는 뜻을 갖고있습니다. 아직 꽃샘추위가 남아있지만 한낮으로는 벌써 '포근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기온이 부쩍 올랐는데요. 실제로 경칩이 되면 많은 봄의 기운을 느끼고 움츠려 지냈던 겨울이 끝나고 새로운 생명력이 소생하는데요. 경칩의 풍습과 제철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①경칩의 풍습

    ▷ 경칩의 경은 驚/놀랄 경/ 蟄/숨을 칩/으로 '겨울 동안 숨어있던 동식물이 봄을 맞아 놀라다'라는 뜻인데요. 경칩에 풍습에 대해 알아볼까요?

     

     

    (1) 선농제 지내기, 농기구 정비하기

     새싹이 돋는 경칩은 본격적인 농사를 중요한 절기인데요. 조선시대에는 경칩이 지나면 왕이 직접 풍년을 기원하며 선농제를 지냈다고 합니다. 선농제는 선농단에서 신농씨와 후직씨에게 드리는 제사를 말해요. 한편 민간에서는 농기구를 정비하며 춘분에 벼를 심을 준비했습니다.

     또한 경칩에는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하여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았으며, 보리 싹의 성장을 보며 그 해 농사를 점쳐보기도 했습니다.

    (2) 고로쇠 수액마시기, 개구리알 먹기

     봄을 맞을 준비하는 것은 동물뿐만이 아닌데요. 식물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여느 지역보다 봄이 빨리 찾아오는 남부 지방에서는 춘분이 아닌 경칩부터 나무에 물이 차오르기 시작합니다. 사람들은 물이 차오르기 시작한 고로쇠나무(단풍나무, 어름 넝쿨)를 베어 그 수액을 마셨는데, 이를 '고로쇠 수액 마시기'라고 합니다. 이때 채취한 고로쇠 수액은 위장병이나 속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경칩이면 동면했던 개구리나 도롱뇽 같은 양서류가 겨울잠에서 깨어 알을 낳습니다. 과거 농촌에서는 이 알을 먹으면 허리에 좋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경칩이 되면 산이나 물이 고인 곳을 찾아다니며 개구리나 도롱뇽의 알을 건져다 먹었는데요. 이것을 '개구리알 먹기'라고 부릅니다.

    ②경칩의 제철음식

    ▷ 땅의 기운이 오르는 경칩에 먹으면 좋은 대표 제철음식 더덕, 우엉, 쑥이 있습니다.

     

     

    (1) 더덕

     '산에서 나는 고기'라고도 부르는 더덕은 약용과 음식의 재료로 두루두루 활용됩니다. 인삼과 비슷하게 생긴 산 더덕은 예로부터 산삼에 버금가는 약효가 있다고 해서 '사삼'이라고 불릴 정도로 그 효능이 뛰어난데요. 실제로 더덕에는 인삼처럼 다량의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혈관질환과 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더덕 속에 풍부한 사포닌, 칼슘, 철분은 피로 회복과 고혈압 및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우엉

     뿌리채소의 대표주자인 우엉! 우엉은 볶음, 조림, 튀김, 샐러드, 차로 만들어 먹는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해 먹을 수 있는 식재료입니다. 김밥에 넣어 먹으면 씹는 재미를 더하고, 전골이나 찌개에 넣어 먹으면 구수한 풍미를 낼 수 있는데요. 우엉 속에는 이눌린이라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돼 있는데요. 이눌린 역시 천연 인슐린이라고 불릴 정도로 혈당 조절 능력이 뛰어나 당뇨병 예방에 효과가 있습니다. 이눌린은 체내의 콜레스테롤 배출에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3) 쑥

     언 땅을 뚫고 올라오는 향긋한 쑥! 우리나라의 산과 들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쑥은 예로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이른 봄철 응달에서 자란 어리고 부드러운 쑥이 가장 맛과 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어요. 이때 쑥을 따서 삶아 냉동실에 보관하면 1년 내내 두고두고 먹을 수 있습니다.

     쑥은 마늘, 당근과 더불어 성인병을 예방하는 3대 식물로 손꼽힐 정도로 다양한 효능을 지니고 있는데요. 체내 콜레스테롤을 제거해 피를 맑게 해주고, 혈압을 낮춰주며 고혈압과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쑥 속의 비타민과 미네랄은 간의 해독 기능과 지방 대사를 원활하게 해 피로회복 및 체력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경칩의 풍습과 제철음식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 글이 경칩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되신 분들은 공감, 구독, 댓글 부탁드립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