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통이대리입니다.
이번에는 회전교차로 설계시 중요시 되는 기본원리와 회전교차로의 내접원 지름, 회전차로폭, 화물차 턱 등 기하구조 설계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회전교차로 설계 기본원리
○ 회전교차로는 접근로 수가 3개 이상인 교차로에 설치되며, 감속을 유도하는 기하구조와 양보 형식의 교차로 진입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합니다. 회전교차로를 통과하는 자동차가 진입부에서 충분히 속도를 줄여 회전차로에 진입하고, 점진적으로 가속하여 진출 시 신속하게 교차로를 통과하도록 설계하여야 합니다.
○ 설계단계에서 설계기준자동차, 설계속도, 회전반지름, 시거 등의 기본조건을 결정해야 합니다.
○ 설계기준자동차 및 설계속도에 따라 회전차로 폭, 화물차 턱의 설치여부, 진입․진출부 및 회전부의 회전경로와 회전반지름을 결정해야 합니다.
○ 회전교차로의 정지시거는 각 접근로와 교차로 내의 모든 지점에서 확보해야 합니다.
※ 회전교차로의 바람식한 설계와 바람직하지 않은 설계 예시
① 접근로가 3개 이상인 교차로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② 회전교차로의 중심은 도로 교차축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합니다.
③ 회전차로 폭은 동일한 폭을 유지하도록 설계합니다.
④ 접근로의 연장축 방향은 접근로의 중심선 방향은 회전교차로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계합니다.
○ 회전교차로 설계속도와 자동차의 회전
주행속도는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회전교차로가 적절한설계속도를 갖도록 하는 것은 설계의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됩니다. 회전교차로 접근로의 권장 설계속도는 최대 40~50km/h이고, 회전부의 권장 설계속도는 20∼30km/h입니다.
■ 회전교차로 기하구조 설계기준
○ 회전교차로 종단경사가 3%를 초과하는 곳은 회전교차로 설치가 바람직하지 않으나, 최소 정지시거 확보, 교차로 재배치 등의 방법을 통하여 수정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 회전교차로의 규모는 내접원의 지름으로 결정됩니다.
: 소형자동차기준 회전교차로, 1차로형 회전교차로, 2차로형 회전교차로
○ 진입부와 진출부 제원 결정을 위해 진입․진출각, 진입․진출 반지름, 폭원 등의 기준을 검토합니다.
: 전교차로 진입부는 적절한 진입각을 유지하면서 설계기준자동차 제원과 수요에 적합한 진입차로 폭을 확보하도록 설계하며, 진출부는 회전차로에 진입한 자동차가 혼잡을 일으키지 않고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회전차로 제원을 결정하기 위해 폭원, 반지름 및 차로수를 검토합니다.
: 회전차로 수는 진입로 중 가장 많은 차로수를 가진 진입로 차로수와 같거나 많아야 합니다. 즉, 진입부가 1차로인 경우 회전차로도 1차로로 하거나,접근로별 진입 교통량이 많으면 회전차로 수는 2차로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진입차로가 2차로인데 회전차로를 1차로로 하는 방안은 진입부와 회전차로 내 상충이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① 소형 회전교차로 제원(단위 : m)
② 1차로 회전교차로 제원(단위 : m)
③ 2차로 회전교차로 제원(단위 : m)
○ 내접원 지름 및 회전차로 폭과 수에 따라 중앙교통섬 지름과 화물차 턱 설치 여부 및 폭을 결정하며, 분리교통섬은 노면으로부터 가급적 돌출시켜 설계하도록 합니다.
○ 회전교차로의 진입부 용량증대와 원활한 교통처리를 위해 우회전 전용차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