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한 개혁의 일환으로 배당 확대, 자사주 소각, 자본효율성 제고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이런 기조 속에서 주목받는 기업이 바로 한미반도체입니다. 한미반도체는 기술 중심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소액주주를 위한 배당정책과 자사주 환원 전략까지 함께 실행하며 정부가 의도하는 자본시장 구조개선의 대표적 수혜 기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정부 정책 방향 vs 한미의 대응
항목 | 이재명 정부 정책 | 한미반도체 대응 |
배당 확대 | 배당 활성화 및 세제 개편 추진 | 주당 720원, 전년比 71% 증가 |
세후 이익 개선 | 배당소득 분리과세, 비과세 구조 유도 | 자본준비금 배당으로 비과세 실현 |
주주환원 | 자사주 소각 확대 권고 | 2024년 1.35% 규모 소각 (약 1,300억 원) |
저PBR 개선 | 상장사 밸류업 프로그램 압박 | 적극적 환원정책으로 밸류 리레이팅 기대 |
1. 한미반도체 자사주 소각과 비과세 배당의 실질 효과
(1) 자사주 소각: 장기 가치 제고
- 2024년 1.35% 규모 자사주(약 1,300억 원)를 영구 소각
- 이는 총 유통주식 수를 줄여 주당 순이익(EPS) 상승 → 실질적 주가 상승 요인
- 단순 배당보다 가치 집중 효과가 크며, 장기 투자자에 유리
(2) 비과세 배당 설계: 세후 실익 확대
- 일반 배당은 15.4~20% 세금이 부과되지만, 한미는 자본준비금 전입을 통한 배당으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도록 설계
- ex)
- 일반 배당 구조 → 100만 원 배당 시 세금 약 15만 원
- 한미 구조 → 동일 배당액 전액 비과세 수령 가능
→ 세후 실질 수령액 +15% 이상 효과
➡️ 결과적으로, 배당 소득을 직접 키우면서도 자본가치까지 상승시키는 구조를 소액주주에게 제공하고 있음
2. 왜 현 정부가 한미반도체에 주목하는가?
- 한미는 단순히 ‘배당을 많이 주는 기업’이 아니라, 정책 방향과 실행 철학이 가장 잘 일치하는 실제 사례입니다.
- 배당 확대, 비과세 구조, 자사주 소각, 기술 중심 기업이라는 특성까지 모두 충족
- 이재명 정부의 ‘주주환원 성공 모델’로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음
3. 결론
한미반도체는 반도체 장비 기술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소액주주의 실익을 중심으로 설계된 주주친화 전략을 꾸준히 실행 중입니다. 정부가 요구하는 '배당 확대', '비과세 유도', '환원 정책' 모두에 부합하며, 이는 단기 주가 모멘텀을 넘어서 기업가치의 구조적 재평가로 이어질 수 있는 강력한 무기입니다. 이 흐름이 이어진다면, 한미는 앞으로도 자본시장 신뢰 회복의 대표 종목으로 주목받을 것입니다.
[ 참고하면 좋은 글 ]
한미반도체 주가 마이크론의 HBM5 엔비디아 납품에 미치는 영향
한미반도체 주가 마이크론의 HBM5 엔비디아 납품에 미치는 영향
2025년부터 마이크론이 엔비디아에 HBM5 메모리를 공급한다는 발표는 반도체 시장에 매우 중요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특히 이 공급망에 한미반도체의 핵심 장비인 TC 본더, FLTC 본더가 적용
suby33.tistory.com
마이크론에 뒤처진 삼성전자, 믿을 건 한미반도체뿐
2025년을 앞두고 AI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이 뜨겁다. 마이크론이 엔비디아에 HBM5를 납품하기로 확정 지은 가운데, 삼성전자는 여전히 HBM3E 테스트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 격차를
suby3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