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에서 매년 기준 중위소득을 발표하여 국민취업제도, 기초생활, 한부모 급여, 긴급복지지원, 기초연금등에 사용한는데요. 이번에는 2021년 기준 중위소득을 한눈에 쉽게 알아볼 수 있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 목차 >
①2021년 기준 중위소득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제11호에 따라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는 ‘기준 중위소득’을 다음과 같이 정합니다.
②2021년 기준 중위소득별 지원정책
▷ 2021년 기준 중위소득별 정부 지원정책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 2021년 기준 중위소득 (단위 : 원) >
가구원 수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중위소득 150% | 2,741,747 | 4,632,119 | 5,975,925 | 7,314,435 | 8,636,060 | 9,942,905 |
중위소득 120% | 2,193,397 | 3,705,695 | 4,780,740 | 5,851,548 | 6,908,848 | 7,954,324 |
중위소득 100% | 1,827,831 | 3,088,079 | 3,983,950 | 4,876,290 | 5,757,373 | 6,628,603 |
중위소득 85% | 1,553,656 | 2,624,867 | 3,386,358 | 4,144,847 | 4,893,767 | 5,634,313 |
중위소득 80% | 1,462,265 | 2,470,463 | 3,187,160 | 3,901,032 | 4,605,898 | 5,302,882 |
중위소득 75% 긴급복지지원 |
1,370,873 | 2,316,059 | 2,987,963 | 3,657,218 | 4,318,030 | 4,971,452 |
중위소득 72% 청소년한부모 |
1,316,038 | 2,223,417 | 2,868,444 | 3,510,929 | 4,145,309 | 4,772,594 |
중위소득 70% 기초연금 |
1,279,482 | 2,161,655 | 2,788,765 | 3,413,403 | 4,030,161 | 4,640,022 |
중위소득 60% 청년한부모급여 |
1,096,699 | 1,852,847 | 2,390,370 | 2,925,774 | 3,454,424 | 3,977,162 |
중위소득 52% 한부모 급여, 존손가족 급여 |
950,472 | 1,605,801 | 2,071,654 | 2,535,671 | 2,993,834 | 3,446,874 |
중위소득 50% 기초생활, 국민취업제도 |
913,916 | 1,544,040 | 1,991,975 | 2,438,145 | 2,878,687 | 3,314,302 |
■ 함께하면 좋은 글
[도시개발 관련 정보/도시소식] - 경기 기본주택 주거문제 해결가능
[생활정보/생활정보통] - 2021 양육비산정기준표 확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