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7월 7일은 어린시절 자주듣던 견우와 직녀의 슬픈 설화가 전해 내려오는 '칠월 칠석'인데요. 서로 사랑하지만 헤어질 수밖에 없는 슬프고도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는 동양판 '로미오와 줄리엣'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칠석의 유래와 설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칠월칠석

1) 칠석의 유래

○ 칠석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단연 '견우와 직녀' 설화인데요. 하느님의 손녀인 직녀와 사랑에 빠진 목동 견우. 알콩달콩 사랑을 키워 나가느라 서로가 맡은 일을 게을리하게 되고, 이에 분노한 하느님이 은하수를 가운데 두고 서로 떨어져 살게 하면서 매년 칠월 칠석에만 같이 지내도록 했다는 것이 견우직녀 설화의 커다란 줄거리입니다.

 

 

○ 견우와 직녀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녀는 하느님의 손녀로 길쌈을 잘하고 부지런했습니다. 하느님이 매우 사랑하여 은하수 건너편의 하고(河鼓)라는 목동(견우)과 혼인하게 했는데요. 그러나 직녀와 견우는 신혼의 즐거움에 빠져 매우 게을러졌고, 하느님은 크게 노하여 둘을 은하수를 가운데 두고 다시 떨어져 살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한 해에 한 번 칠월칠석에만 같이 지내도록 했는데요. 은하수 때문에 칠월칠석에도 서로 만나지 못하자, 보다 못한 지상의 까막까치들이 하늘로 올라가 머리를 이어 다리를 놓아 주었습니다. 그 다리를 ‘까막까치가 놓은 다리’, 즉 ‘오작교(烏鵲橋)’라 하며, 칠석이 지나면 까막까치가 다리를 놓느라고 머리가 모두 벗겨져 돌아온다고 한다. 또한 이 날 오는 비는 ‘칠석우(七夕雨)’라 하여 그들이 너무 기뻐서 흘리는 눈물이라고 하며, 그 이튿날 아침에 오는 비는 이별의 눈물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 견우직녀 설화는 매년 칠월칠석이 되면 두 별이 은하수를 가운데 두고 그 위치가 매우 가까워지는 것을 보고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이 두 별은 실제로 존재하는 별이기도 한데요. 견우성은 서양의 별자리에서는 염소자리의 β별인 다비흐(Dabih) 또는 독수리자리의 알타이르(Altair)를 가리키며 직녀성은 거문고자리의 α별인 베가(Vega)를 말합니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견우성은 은하수를 기준으로 동쪽 하늘에서, 직녀성은 서쪽하늘에서 관측되고 있습니다.


○ 설화의 발생 시기는 정확하지 않지만 중국 전한 이전 시기에 발생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강서 덕흥리 고구려고분벽화(408년)에도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있는 견우와 직녀의 그림이 발견되었다고 하니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은하수

 

2) 견우와 직녀가 만나 흘리는 눈물 칠석비

○ 칠석날의 두 주인공,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이면 하늘에서는 그들의 눈물이 비가 되어 쏟아진다고 하는데요. 칠월 칠석날은 견우와 직녀가 상봉의 기쁨을 나누는 눈물이 비가 되어 내리고, 이튿날에는 이들이 다시 헤어져야 하는 작별의 눈물이 비가 되어 쏟아진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처럼 음력 7월 7일을 전후로 내리는 비를 '칠석비' 또는 '칠석우'라고 합니다.

 

 

○  견우와 직녀 전설과는 무관하게 칠석비로 농작물이나 해초의 풍흉을 점치기도 했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칠석날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이날 내린 비가 질병과 액운을 쫓는 영험함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빗물을 모아 목욕을 하고 물맞이를 즐기기도 했습니다. 경남 사천에서는 이날 물을 맞으면 한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해서 칠석날 떠오르는 샘물로 머리를 감았다고 합니다.

 

○ 한편 지역에 따라 칠석비에 대한 농사점의 해석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납니다. 경남 지역에서는 칠석 전 2~3일간 비가 와야 그해 농사가 잘 된다고 믿었는데요. 반면 부산과 전북 임실에서는 칠석날 비가 오거나 날이 흐리면 농작물이 흉년이 들어 그해 농사를 망친다고 생각했습니다. 

 

3) 견우와 직녀를 이어주는 사랑의 오작교

○ 견우와 직녀 설화를 유의 깊게 읽었다면 둘을 만나게 해 주는 숨은 조력자가 있음을 알 수 있을 텐데요.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가까이 가지 못하는 견우와 직녀를 만나게 해 준 동물이 바로 까마귀와 까치입니다. 까마귀와 까치는 칠월 칠석날 밤, 견우와 직녀가 은하수를 건너 만날 수 있도록 서로의 몸을 잇대어 다리를 만들어 주었는데요. 까마귀 '오(鵲)' 자와 까치 '작(鵲)'자를 합쳐 이 다리의 이름을 오작교(烏鵲橋)  라고 부르게 됐는데요. 둘의 사랑을 이어준다는 점에서 오늘날까지도 사랑을 놓아주는 사람이나 행위를 '사랑의 오작교'라고 부르곤 합니다. 옛사람들은 이날은 지상에서 까마귀와 까치를 볼 수 없었으며, 칠석이 지나고 나면 까마귀와 가치의 머리가 벗어지는데 이것은 견우와 직녀의 발에 새들의 머리가 밟혀 벗겨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함께 하면 좋은 글

입추의 풍습과 관련된 속담

 

입추의 풍습과 관련된 속담

8월 가장 더운 시기이지만 절기로는 입추가 찾아오는데요. 날씨는 여전히 덥지만 입추라는 말이 반가워지는 이유는 바로 입추가 '가을을 알리는 첫 번째 절기이기 때문인데요. 24절기에서는 입

suby33.tistory.com

말복에 먹으면 체온을 낮춰주는 음식

 

말복에 먹으면 체온을 낮춰주는 음식

올해 여름 더위가 무서울 정도로 뜨거운데요. 삼복더위 중 마지막 더위 "말복"이 다가오면서 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말복에 먹으면 좋은 음식, 여름철 체온을 낮춰주는 음식에

suby33.tistory.com

 

▷ 이것으로 칠월칠석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되신 분들은 공감, 구독, 댓글 부탁드립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