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었던 장마가 끝나고 뜨거웠던 더위가 누그러들면서 가을의 기운이 조금씩 다가오고 있는데요. 더위가 그치는 시기인 24절기 중 14번째 절기에 해당하는 처서가 다가오고 있어 처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1. 처서의 뜻
24절기 중 14번째에 해당하는 처서(處暑)는 양력으로는 8월 23일, 음력으로는 7월 15일 무렵에 듭니다. 절기 처서는 "더위가 그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름이 끝나가는 무렵, 더위도 가시고 선선한 가을을 맞게 되는 시기와 잘 어울리죠. 아마도 "가을의 시작"이라고 하면 처서보다 입추라는 절기를 먼저 떠올리실 텐데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실제로 입추가 일 년 중 가장 더위가 극심한 삼복더위 기간과 겹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다음에 찾아오는 절기 처서야말로 진짜 가을이 시작되는 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처서 날씨 >
무더위가 한 풀 꺾이고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처서 무렵부터는 가을밤의 운치를 더하는 귀뚜라미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하늘은 점차 가을색이 짙어지는데요. 때문에 처서 무렵의 날씨를 두고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을 타고 온다"라고 말합니다.
고려사에서는 처서 이후 백로까지를 5일씩 나누어 "처서가 시작되고 첫 5일은 매가 새를 잡아 제를 지내고, 다음 5일에는 천지에 가을의 기운이 돌며, 다음 5일에는 곡식이 익어간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 처서 관련 풍속 >
처서는 한해 농사의 풍흉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기간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때문에 처서가 되면 그날의 날씨로 점을 보는 농사점(농점)을 치는 풍습이 존재했습니다. 처서에 비가 내리지 않으면 풍년이 들고, 반대로 처서에 비가 내리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어요. 처서와 관련된 또 다른 풍습으로는 음건과 포쇄가 있습니다. 과거 부인들과 선비들은 처서가 되면 여름 동안 장마에 젖은 책을 말렸데요. 이때 책을 음지에서 말리는 것을 음건, 햇볕에 말리는 것을 포쇄라고 합니다.
한편 처서가 되면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기 때문에, 여름 동안 무성하게 자란 논두렁의 풀을 깎거나 산소를 찾아 벌초를 하기도 했습니다.
< 처서와 관련된 속담 >
여름이 가고 가을이 드는 계절의 순행을 잘 포착할 수 있는 처서는 계절적 변화와 관련된 다양하고 재미있는 속담이 전해집니다. 아침저녁으로 서늘함을 느낄 수 있는 처서에는 파리나 모기와 같은 각종 벌레들이 점차 모습을 감춘다는 의미로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라는 속담이 전해져 내려오고요.
무럭무럭 성장하는 벼의 모습을 빗댄 "처서에 장벼(이삭이 팰 정도로 다 자란 벼) 패듯"이라는 속담도 있습니다. 처서 무렵에 벼가 얼마나 성장하는가를 짐작할 수 있는 속담이기도 하지만, 무엇이 한꺼번에 성장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를 때 이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기도 해요.
한편 처서 무렵에 내리는 비를 '처서비'라고 부르는데요. 이 시기에 비가 오게 되면 그동안 잘 자라던 곡식은 흉작을 면치 못하기 때문에 농민들은 처서비를 매우 달갑지 않게 여겼습니다. 사람들은 처서비가 내리면 흉년이 찾아온다는 뜻으로 "처서에 비가 오면 독 안의 든 쌀이 줄어든다", "처서에 비가 오면 십 리 천석을 감하고, 백로에 비가 오면 십 리 백석을 감한다"라는 말을 쓰기도 했습니다.
대추농사로 유명한 전북 부안과 청산에서는 대추가 맺히기 시작하는 처서를 전후로 하여 비가 내리면 열매를 맺지 못하게 되고, 혼사를 앞둔 큰아기들의 혼수장만 걱정이 커졌기 때문에 "처서 날 비가 오면 큰 아기들이 울고 간다"는 속담이 생겨 났습니다.
2. 처서에 먹으면 좋은 음식
처서는 여름 내 더위에 약해진 기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제철 음식을 즐겨 먹었습니다. 처서에 먹는 가장 대표적인 음식 3가지는 바로 복숭아, 애호박(칼국수), 추어탕이 유명합니다.
< 복숭아 >
여름철 대표 과일인 복숭아는 더위가 한풀 꺾이는 처서에 가장 당도가 높아져 좋은 맛을 냅니다. 달콤한 맛과 향, 그리고 풍성한 과육을 지닌 복숭아는 체내에 흡수가 빠른 각종 당류와 비타민, 유기산, 아미노산이 풍부해 무더운 날씨 탓에 쉽게 지치는 여름철 피로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또 장을 부드럽게 해 변비를 없애주고, 면역력 증강과 야맹증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요.
< 애호박 >
여름철 뙤약볕 아래서도 말라죽지 않는 강인한 생명력을 자랑하는 애호박은 더위를 이기는 대표적인 채소입니다. 특히 처서가 되면 제철을 맞은 애호박과 풋고추를 송송 썰어 넣고 끓인 칼국수를 즐겨 먹었는데요. 애호박을 듬뿍 넣은 칼국수는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환절기에 몸을 따뜻하게 해주어 건강에 이롭습니다. 소화가 잘 되는 애호박은 위의 점막을 보호해 주고 위궤양과 같은 위장 질환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데, 특히 소화력이 약한 어린이나 어르신들이 섭취하기에 더 좋습니다.
< 추어탕 >
보양식의 대명사로 알려진 추어탕도 이맘때 챙겨 먹으면 좋은 음식 중 하나입니다. 추어탕의 주재료인 미꾸라지는 소화가 잘 되는 양질의 단백질을 비롯해 칼슘과 철분 등의 영양 성분이 골고루 들어 있어 여름철 허해진 기운을 북돋워 주는 역할을 합니다. 미꾸라지에 풍부한 비타민D와 칼슘은 뼈를 튼튼하게 해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을 주고요. 비타민A는 야맹증 예방과 눈 건강을 지키는데 좋습니다.
◎ 함께 하면 좋은 글
말려서 먹으면 좋은 채소 과일
다양한 식재료 가운데 '말려서 먹으면' 그 효능이 배가 되는 식품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요즘에는 식품건조기를 통해서 언제든지 좋은 식재료를 말려서 오래 보관해 먹을 수 있는데
suby33.tistory.com
여름휴가 후유증 극복하는 꿀팁
꿀맛 같았던 여름휴가 시즌도 어느덧 끝나가는데요. 올해 즐거운 여름휴가 다녀오셨나요? 코로나와 연일 계속된 장마로 인해 가까운 곳에서 소박한 여름휴가를 즐기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고
suby33.tistory.com
처서가 지나면 서서히 여름의 기운이 물러가고, 선선한 가을바람이 불어오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요. 다가오는 환절기에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건강관리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오늘 소개해드린 처서음식 드시면서 항상 건강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