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조금만 더워지면 어디선가 보이는 초파리. 직접적인 유해를 가하는 것은 아니지만 위생상으로도 그렇고 눈앞에 자꾸 아른거리면 무척이나 성가신데요. 이번에는 여름 불청객 초파리 퇴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초파리의 정체
여름철에 주로 발견되는 초파리는 대부분 3월부터 11월까지 활동하는 녀석을 '노랑초파리'라고 불르는데요. 노랑초파리는 과일 속 당분을 빨아먹고 사는데요. 무려 1km 밖에서도 과일 냄새를 맡고 찾아올 수 있습니다. 아파트 1층에 있는 초파리가 10층에 있는 과일 냄새를 맡고 들어올 수 있는 정도라고 합니다. 길이가 2~3mm밖에 되지 않는 초파리는 배수구, 방충망 사이, 창문의 작은 틈새만 있어도 집 안에 쉽게 들어올 수 있습니다.
초파리는 집안 내 싱크대 하수구, 화분, 과일 꼭지, 과일과 가지의 연결 부위, 상한 음식물 등 습한 곳에 숨어 있다가 평균기온이 29℃ 전후가 되면 활발하게 활동을 시작합니다. 여름철 뜨거운 온도로 과일 부패가 빨라지는 것도 초파리가 기승을 부리는 원인이 됩니다. 흔히 초파리가 여름에만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집안 구석에 숨어 있다가 여름이 되면 더 눈에 띄는 것일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초파리는 100여 개~200여 개의 알을 낳는데, 알이 부화해서 성충이 될 때까지 약 1212일밖에 걸리지 않고 성충이 되면 또다시 번식을 하기 때문에 집 안에 유입된 초파리를 없애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초파리 퇴치법
1. 음식물 쓰레기 자주 버리기
여름철 초파리가 생기는 것을 조금이라도 막으려면 집안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식을 먹은 후에는 바로 설거지를 하고, 음식물 쓰레기는 자주 내다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초파리는 과일의 달콤한 향을 좋아하기 때문에 과일을 먹은 뒤에는 껍질을 즉각 치워야 합니다. 번거롭더라도 과일 껍질은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바로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여름에는 과일을 잠시 꺼내도기만 해도 초파리가 달려들기 때문에 과일을 보관할 때에는 가급적 냉장고에 넣어두고 실온에 놔둬야 하는 경우에는 과일을 깨끗하게 닦은 뒤 밀폐용기 등에 담아 밀봉 처리 후 보관하는 것이 추천드립니다.
2. 하수구에 뜨거운 물 부어주기
초파리를 비롯한 각종 벌레들은 화장실의 하수구를 통해 집안으로 드나듭니다. 하수구에서 서식하거나 알을 낳는 벌레들도 많습니다. 초파리를 퇴치하려면 일주일에 2~3번 정도 배수구에 뜨거운 물을 주기적으로 부어주는 것도 좋은데요. 하수구에 뜨거운 물을 부어주면 벌레를 쫓아내고 내벽에 붙어 있는 알과 유충들도 제거할 수 있어 좋아요. 집안 내 하수구와 배수구도 꼼꼼하게 관리해 주세요. 락스 원액을 부어 주는 것도 뜨거운 물을 붓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니 참고하세요.
3. 주방 재료 활용하기(쌀뜨물, 식초, 커피 찌꺼기, 계피, 허브 등)
주방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로 초파리 퇴치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과일을 씻거나 담가둘 때, 쌀을 씻고 남은 쌀뜨물이나 식초를 이용하면 좋은데요. 녹말 성분이 함유된 쌀뜨물이 과일의 향을 차단해 초파리가 덜 꼬이도록 도와줍니다. 식초의 산성 성분도 초파리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요. 쌀뜨물과 식초를 분무기에 넣고 섞어 화장실과 주방, 음식물 쓰레기통 근처에 골고루 뿌려주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이때 쌀뜨물은 한번 넣고 계속 사용하기보다는 밥을 지을 때마다 교체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초파리가 싫어하는 향을 이용해 커피 찌꺼기, 계피, 허브(로즈메리) 등을 주방에 놓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초파리 트랩 설치하기
이미 생긴 초파리는 '덫'을 놓아 퇴치해 보는 건 어떨까요. 간단한 도구만으로 일명 초파리 트랩을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요. 초파리 트랩을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일회용 컵이나 종이컵, 빈 페트병을 반으로 자른 뒤, 그 안에 초파리가 좋아하는 설탕물, 식초, 맥주 등을 넣고 주방용 랩으로 입구를 막아줍니다. 이후 이쑤시개나 볼펜을 이용해 초파리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작은 구멍을 5~65~6 게 뚫어주면 초파리 트랩 만들기 완성! 이후 초파리가 많이 다니는 곳에 놓아두면 냄새를 맡고 초파리가 컵 안으로 들어왔다가 출구를 찾지 못해 갇히게 되는 것이 초파리 트랩의 원리입니다.
◎ 함께 하면 좋은 글
먼지다듬이 벌레 없애는 방법과 예방법
최근 신축 건물에서 자주 발견돼서 '신종 새집증후군'이라고 불리는 먼지다듬이벌레! 습하고 따듯한 환경에 빠르고 많이 번식하기 때문에 여름철에 쉽게 발견되곤 하는데요. 이번에는 불쾌감과
suby33.tistory.com
모더나 백신 델타 변이 예방 효과
모더나 백신이 다시 공급되면서 모더나 백신의 델타변이 예방효과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모더나 백신 해외 임상 3상 결과 델타 변이로 부터 감염 예방효과는 72%로 나타났고, 입원
suby33.tistory.com
초파리가 눈에 보이면 불쾌하고 집안 어딘가에 음식이나 과일이 부패하고 있다는 증거인데요. 실제로 초파리는 식중독균을 옮기거나, 피부 알레르기나 아토피를 유발할 수도 있다고 하니 집안 위생은 물론 가족들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초파리 퇴치에 신경쓰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