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대통령선거일인 3월 9일에 앞서 3월 4일부터 3월 5일(금~토)까지 사전투표가 실시되는데요. 선거일 당일(9일) 사정이 있어 투표가 힘든 분들을 위해 사전투표가 2일간 진행되는 만큼 모든 분들이 투표에 동참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사전투표는 신고 없이 사전투표소가 설치된 곳 어디서나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데요. 이번에는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방법과 준비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전투표일과 사전투표시간
제20대 대통령선거 선거일은 2022년 3월 9일(수)입니다. 사전투표는 이보다 앞선 3월 4일(금) ~ 3월 5일(토) 양일간 실시되는데요. 사전투표에 참여하실 분은 사전투표일 당일 오전 6시 ~ 오후 6시까지 전국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투표에 참여하실 수 있어요.
사전투표 절차(관내·관외 선거인)
사전투표는 본 투표와 달리 지정된 투표소가 아닌, 전국의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참여가 가능한데요. 때문에 관내선거인(해당 구·시·군 관할구역 내에 주소를 둔 유권자)과 관외선거인(해당 구·시·군 관할구역 밖에 주소를 둔 유권자)로 나누어 투표가 진행됩니다.
- 관내선거 : 실제 투표와 마찬가지로 신분증을 통한 본인확인 > 투표용지 수령 > 기표소에 비치된 용구로 기표 > 투표함에 투표지를 안 보이게 넣고 퇴장
- 관외선거인 : 신분증 제시 및 본인 확인 > 투표용지와 주소 라벨이 부착된 회송용 봉투 수령 > 기표소에 비치된 용구로 기표 후, 투표지를 회송용 봉투에 넣어 봉함 > 투표함에 회송용 봉투를 넣고 퇴장
- 회송용 봉투에 담긴 투표지는 해당 선관위까지 등기우편으로 배달되어 보관하였다가 모든 선거가 종료된 이후 개표장에서 다른 투표용지와 함께 개표됨
사전투표 장소는 아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이트에서 검색하시면 됩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현재 서비스하고 있지 않은 페이지이거나 비정상적인 접근입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잠시 후에 선거통계시스템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info.nec.go.kr
투표 준비물
이번 대통령선거는 선거일인 3월 9일 기준 만 18세 이상의 국민(2004년 3월 10일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투표에 참여하실 때에는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을 꼭 지참해야 합니다.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기타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한 신분증으로 본인의 사진이 첨부된 것이어야 합니다.
◎ 함께 하면 좋은 글
청년희망적금 가입대상 신청방법 확인하기
2022년부터 연 9%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 적금이 있다고 하는데 알고 계셨나요?? 바로 청년희망적금인데요. 청년희망적금은 중·저소득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된 새로운
suby33.tistory.com
2022년 대선일 지방선거 날짜
2021년 올해도 반년이 지났는데요. 윤석열, 이재명 등 여야의 유력 대선후보들이 대통령 후보 등록을 시작했습니다. 그렇다면 2022년 대선일은 언제일까요? 그리고 2022년에 있는 지방선거 날짜에
suby33.tistory.com
이것으로 제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되신 분들은 공감, 구독,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