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도시가스 비용이 많이 올라 난방비 걱정이 커지고 있는데요. 한국가스공사에서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전년도 대비 도시가스 사용량을 7%이상 절약한 가구에게 절감량을 현금으로 돌려주는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신청방법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기간은 오는 1월 31일까지 이며, 신청은 공식 누리집에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캐식백 신정자는 전년동기 대비 7~10% 감축하면 절약한 도시가스 1m2당 30원, 10~15% 감축하면 50원, 15%이상 감축하면 70원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절약기간은 3월까지(4월 고지 발행분)이며, 캐시백지급은 6월~7월까지 입니다.

  • 전년도 대비 도시가스 사용량 7%이상 감면하면 현금 지급
  • 신청기간 : 2023년 1월 31일
  • 대상기간 : 2023년 3월(4월 고지서)
  • 캐쉬백 금액 : 7%이상 절감시 30원/m2. 10%이상 절감시 50원/m2, 15%이상 절감시 70원/m2
  • 신청방법 : https://k-gascashback.or.kr/ko/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copyrighty(c) K-가스캐쉬백 all rights reserved

k-gascashback.or.kr

 

 

아파트 실내 적정온도와 외출기능

월 7%의 도시가스를 절약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바로 실내온도를 낮추는 건데요. 겨울철 아파트 적정 실내온도는 18~20도로 20도에서 1도씩 올라갈때마다 15%의 가스비가 상승하게 되고, 20도에서 1도를 낮추면 7%의 가스비가 절약 된다고 합니다.

  • 겨울철 적정 실내온도 : 18 ~ 20도
  • 실내온도 20도에서 1도 오르면 가스비 15% 상승
  • 실내온도 20도에서 1도 내리면 가스비 7% 감소

 

또한 10시간 이내로 집을 외출하는 경우가 이나라면 적정온도 18도로 설정하고 나가시는게 가스비를 줄일 수 있는데요. 보일러 외출기능의 경우 보일러 동파방지를 위한 기능이기 때문에 8도 이하로 내려가는 걸 방지해준다고 합니다. 따라서 출퇴근을 할때 보일러 외출기능을 사용해도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집에 돌아와서 다시 실내온도를 높이려면 많은 에너지가 소비됩니다.

  • 출퇴근시 실내온도 18도 설정하는게 가스비가 가장 적게 나옴
  • 하루 이상 외출시에는 동파방지를 위해 외출기능 사용

 

그 밖에 난방비 줄이는 방법은?

  1. 적정 습도 40~60% 유지하기 : 열전달이 빨라져 온도를 빠르게 상승
  2. 온수 사용 이후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 돌리기 : 불필요한 보일러 공회전 방지
  3. 난방을 하지 않는 방문 닫기 : 열손실 방지
  4. 내복, 히트텍, 수면바지, 수면양발 등 보온 용품 착용 : 체감온도 3도 상승

 

이것으로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과 실내 적정온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참고하면 좋은 글 ]

 

고드름 제거방법 소방서에 신고하기

지속적인 한파가 몸과 마음을 얼어붙게 만드는 요즘. 눈이 녹아 또는 배수관이 동파로 파열되어 고드름이 자주 생기고 있는데요. 건물 외벽에 생긴 위험하게 보이는 고드름은 어떻게 제거해야

suby33.tistory.com

 

겨울철 동파가능지수 확인해서 동파피해 해결하기

올해 2021년 들어 기록적인 한파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수도관이나 수도 계량기가 얼어 피해보시는 분들 많으시죠? 이번에는 기상청에서 재공 하는 동파가능지수를 통해 동파피해를 예방하고 동

suby33.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