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접종으로 나타날 수 있는 이상반응의 대표적인 질환은 아나필락시스인데요. 아니필락시스는 백신 접종 인구 100만명당 2.5~4.7명한테 발생하여 극히 드물게 나타나지만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백신 접종 후 15분간 접종기관에서 관찰하고, 다른 원인으로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분들은 30분간 관찰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백신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 증상과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아나필락시스 증상

    아나필락시스 증상 알기 

    아나필락시스는 매우 드물지만, 갑자기 발생하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인데요. 예방접종 후에는 최소 15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는지 관찰해야 하며, 이전에 다른 원인(약, 음식, 주사 행위 등)으로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30분간 관찰하도록 합니다. 
    아나필락시스 증상은 어떻게 될까요? 피부가 전신적으로 붉어지거나 두드러기가 생김, 숨이 차고 쌕쌕거림, 혀가 부음, 목이 붓고 조이는 것 같음, 말하기 힘들고 목소리가 잠김, 쌕쌕거리거나 기침을 계속 함, 계속 어지럽거나 의식이 없음, 창백하거나 늘어짐 현상이 발생합니다.

     

    • 피부 : 두드러기, 가려움증, 홍조, 입술·혀·목젖의 부종 
    • 신경 : 안절부절 못함, 실신, 의식저하
    • 호흡기 : 코막힘, 콧물, 재채기, 기침, 쉰 목소리, 호흡곤란, 가슴답답함, 쌕쌕소리
    • 소화기 : 복통, 메스꺼움, 구토, 설사
    • 심혈관 : 저혈압, 빠른  맥박(빈맥), 심장마비
    • 위의 증상 중 일부만 나타날 수도 있음

    < 고려사항 >

    피부 또는 점막 변화만으로 아나필락시스 반응의 징후가 아니며, 피부나 점막 변화 없이 기관지 경련 또는 저혈압만 나타날 수 있는데요. 국소적인 이상반응이더라도 증상이 나빠질 수 있어 면밀히 관찰 필요합니다. 특히, 아나필락시스의 증상은 인지장애가 있는 장기요양시설 거주자, 신경질환자 등 소통 장애가 있는 사람은 인식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증상과 징후를 면밀히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아나필락시스 대응 방법

    아나필락시스 대응 방법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발생하면 환자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먼저 환자가 급작스럽게 일어나거나, 걷거나 혹은 앉을 시 수분 이내로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환자는 반듯이 평평한 장소에 눕혀야 하며 회복된 것처럼 보여도 절대로 걷거나 일어서서는 안됩니다. 아래 내용은 좀 더 자세한 대응방법입니다.

     

     

    • 펑평한 곳에 눕히고, 의식과 맥박, 호흡을 확인합니다. 
    • 빨리 119에 연락하거나 주변에 도움을 청합니다. 
    • 에피네프린이 있으면, 주사하고 시간을 기록합니다.
    • 다리를 올려서 혈액순환을 유지합니다.
    • 산소가 있으면 마스크로 공급합니다.
    • 2차 반응이 올수 있으므로 응급실로 신속하게 이송합니다.


    아나필락시스는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으므로 빠른 응급처치가 필요한데요. 위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집에 돌아간 후에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대부분 심한 알레르기 반응은 30분 이내 나타나지만, 귀가 후에도 알레르기 반응 (눈물, 콧물, 입술주위나 눈의 가려움증, 재채기, 발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벼운 알레르기 증상이 계속될 경우 항히스타민제 등 처치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의료기관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코로나 백신과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조해 주세요.

    코로나 백신 이상반응과 대응방법

     

    코로나 백신 이상반응과 대응방법

    8월부터 청장년층 18~49 세분들을 대상으로 코로나 예방접종이 진행되는데요. 정부는 9월까지 백신 접종이 이루어지면 국민의 70% 이상 1차 백신 접종을 하게 되면서 집단면역이 가능할 것으로 예

    suby33.tistory.com

    델타 변이 바이러스 증상과 차이점

     

    델타 변이 바이러스 증상과 차이점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 보다 전파력이 강하다고 알려진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진자를 급격하게 증가시키고 있는데요. 최근 국내에서 발생하는 코로나 감염 확진자의 60%가 델타 변이 바이러

    suby33.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