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택공급을 위해 정부는 서울과 연접한 과명시흥에 3기신도시 부지를 확보하였다고 발표했는데요. 지금까지 발표된 3기신도시 고양창릉, 남양주왕숙, 부천대장, 하남교산, 인천계양 보다 큰 규모와 7만호의 주택을 공급할 계획입니다. 광명시흥신도시의 위치와 자세한 개발계획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이번 글 참고하셔서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목차 ]
①3차 신도시 광명시흥신도시 위치와 입지선정
②3차 신도시 광명시흥신도시 개발계획
①3차 신도시 광명시흥신도시 위치와 입지선정
▷ 광명시흥신도시는 서울 인근의 주택공급과 수도권의 균형 개발을 감안하여 선정되었습니다.
- 현재까지 수도권에 계획된 3기 신도시는 동부권의 남양주왕숙, 동남권의 하남교산, 서북권의 고양창릉, 서부권의 부천대장 및 인천계양 등이 있으며, 이번 서남부권에 3기 신도시 중 가장 큰 규모의 광명시흥신도시를 계획하여 권역별 균형을 고려하였습니다.
▷ 또한 서울 여의도에서 12km 떨어져 있는 위치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시 경계에서 최단거리로 1km 떨어져 있어 서울의 주택수요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광명시흥신도시의 위치는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옥길동, 노온사동, 가학동 및 시흥시 과림동, 무지내동, 금이동 일원이며, 3기 신도시 위치도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 3기 신도시 광명시흥의 개발방향성은 교통망, 인프라 자족기능 등을 구축하여 현재의 주요도심의 과부화된 주거, 업무기능을 분산하는데 있습니다.
- 주거기능 : 지역별로 수요자 선호에 맞게 분양주택과 공공자가․통합 공공임대주택 등을 적정 배분․공급
- 교통망 연계 : 도로, 철도 등 기반시설 구축을 위한 교통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하여 서울 및 인근 도시로부터 접근성 제고
- 일자리 창출 : 업무시설 등을 위한 도시지원시설용지를 충분히 확보하고, 지역전략산업 유치 등을 통한 자족기능 강화
- 그린뉴딜 실현 : 충분한 도심 녹지 확보, 제로에너지건축, 수소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하여 그린뉴딜을 실현하는 도시 조성
- 문화ㆍ생활서비스 : 보육ㆍ육아 서비스, 문화ㆍ복지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생활 SOC를 촘촘히 구축하여 생활이 편리한 도시 조성
②3차 신도시 광명시흥신도시 개발계획
▷ 면적/호수 : 1,271만㎡(384만평) / 7만호
▷ 위치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옥길동, 노온사동, 가학동 및 시흥시 과림동, 무지내동, 금이동 일원
▷ 개발구상
- 6번째 3기 신도시로서 서남권 발전의 거점이 되는 자족도시로 조성
- 여의도 면적의 1.3배(약 380만㎡) 규모의 공원·녹지 및 수변공원 조성
▷ 3기신도시 사전청약 일정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글을 추가로 참고해주세요.
[도시관련정보/3기 신도시] -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일정확인
▷ 현재까지 발표된 수도권의 3기 신도시는 동부 및 동남부 축(남양주왕숙, 하남교산, 위례, 판교, 분당 등) 서북부 한강 축(고양창릉, 일산, 김포 등)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광명시흥신도시는 서울 인근 광명, 시흥 등의 발전을 견인하는 서남권 거점도시로 개발할 계획입니다.
▷ 또한, 여의도 면적의 4.3배로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이며 1․2기 신도시 포함 역대 6번째 대규모 신도시로서 자족도시로 조성 계획입니다.
- 광명시흥(1,271만㎡), 동탄2(2,400만㎡), 분당(1,960만㎡), 파주운정(1,660만㎡), 일산(1,570만㎡), 고덕국제화(1,340만㎡)
▷ 신도시 내 남북 철도 신설 등을 통한 교통 인프라 확충, 보건․방재․안전 인프라 혁신 등으로 편리하고 안전한 도시 조성할 계획입니다.
- 국제설계공모 등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는 도시 공간 구성 및 헬스케어 인프라 구축
- 스마트홈, 비대면 시대 주거・근무・교육 등이 복합된 다기능주택, 의료기능과 방역 기능을 갖춘 맞춤형 커뮤니티 등 구축
- 선제적인 목감천 치수대책 마련으로 재해에 안전한 도시 조성
- 재난, 교통사고, 범죄 등을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스마트 안전기술 적용
- 지능형 재난관리․화재감시 시스템, 지능형교통시스템(ITS), 112․119 통합 플랫폼 등 구축
▷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인 약 380만㎡(면적의 약 30%)의 공원․녹지 확보할 계획입니다.
- 목감천 수변공원(연장 7.1km), 생활권별 중앙공원 등을 통해 친환경 녹지체계를 구축하고, 인근에 청년문화·전시예술 공간도 마련
▷ 기반시설 투자로 원주민과 구도심이 함께 공유하는 포용도시로 만들어 갈 것입니다.
- 기존의 광명테크노벨리, 광명학온 공공주택지구 등을 활용하여 기업인 및 원주민의 이주 및 재정착 지원
- 신도시 내 설치되는 생활SOC, 교통 인프라를 원도심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축하고 구도심 재생사업과 연계한 순환주택 제공 검토
▷ 이상으로 광명시흥신도시에 알아봤는데요. 이번 글이 광명시흥신도시 사업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되셨길 바라며, 도움되신 분들은 공감, 구독, 댓글 부탁드립니다.
[도시관련정보/3기 신도시] - 고양 창릉신도시(창릉지구) GTX 신설과 광역교통개선대책
[도시관련정보/3기 신도시] - 남양주 왕숙신도시(왕숙지구) GTX 연결과 광역교통개선대책
[도시관련정보/3기 신도시] - 3기 신도시 인천계양 부천대장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
[도시관련정보/3기 신도시] - 하남 교산신도시 분양시기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