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의 공약 중 하나 '만 나이' 적용이 내년 2023년 6월부터 공식화되는데요. 학창 시절에는 하루빨리 어른이 되고 싶었는데, 막상 어른이 되니 한 살이라도 어려지고 싶은 심정이라 만 나이 시행이 반갑게 다가옵니다. 

우리나라의 다양한 나이 계산법

우리나라에서는 '한국 나이'라는 독특한 나이 계산법이 있는데요. 이외에도 '세는 나이' '만 나이' '연 나이' 등 다양하게 나이를 계산하다 보니 사회적인 혼란과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족보가 꼬이기도 하고요. 내년부터는 국제 통용 기준인 '만 나이'로 통일되는데, 이에 앞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나이 계산 법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 한국식 나이 = 세는 나이
    • 세는 나이는 태어나자마자 '한 살'이 되고 새해가 되어 해가 바뀔 때마다 한살이 늘어나는 계산법을 사용합니다.
    • 세는 나이는 과거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주로 사용했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를 폐지했습니다.
  • 만 나이 = 국제 통용 나이
    • 만 나이는 태어나는 순간을 '0살'로 보고 그로부터 1년이 지나 생일이 되면 한 살을 더하는 계산법을 사용합니다.
    • 만 나이는 국제표준으로 사용하며, 우리나라에서도 공식적으로 법률관계나 공문서에 만 나이가 사용됩니다.
  • 연 나이 = 출생 연도
    • 연 나이는 태어나는 순간을 '0살'로 보고 해가 바뀔 때마다 한 살씩 더해가는 계산법을 사용합니다.
    • 연 나이는 우리나라에서 초등학교 들어갈 때, 군대 들어갈 때 사용됩니다.

 

 

만나이 계산법과 신생아 나이 계산법

앞서 언급한 내용처럼 '만 나이'는 태어난 날짜로부터 1년이 지나야 한 살이 더하는 계산법을 사용하는데요. 이는 현재 한국식 나이(세는 나이) 보다 최대 2살까지 적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만 나이 계산법은 현재 한국식 나이에서 생일이 지났을 때 -1살, 생일이 지나지 않았을 때 -2살을 하면 됩니다.

  • 생일이 지나지 않은 경우 만 나이 = 한국식 나이 - 2살
  • 생일이 지난 경우 만 나이 = 한국식 나이 - 1살

그렇다면 신생아기의 나이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만 나이로 통일되면 갓 태어난 아기는 0살이 되고, 1살이 되기 전까지는 '개월 수'로 나이를 표시하게 됩니다.

  • 신생아 나이 계산 : 갓 태어난 아기 0살 대신 개월 수로 나이 표기

 

 

만 나이로 달라지는 점

2023년 6월부터 만 나이로 통일되면 1~2살이 어려지다는 점 이외에는 크게 체감상으로 바뀌는 부분은 없을 것 같은데요. 술과 담배를 구입할 수 있는 연령의 기준과 군 입대를 위한 '병역법'등에 활용되는 '연 나이'의 경우 신중하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회사 정년의 나이가 1~2년 미뤄질지도 기대되는 사항이지만, 이미 대부분의 회사들이 만 나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근로자의 정년이 바뀌는 경우는 드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취업준비생들의 경우 취업연령에 대한 압박감이 줄어들고, 개인정보 입력란에 한국식 나이와 만 나이를 반복해서 적는 일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현재 발생하는 연령 한정 보험적용 문제에 대해서도 혼란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달라지는 점
    • 한국식 나이에서 1~2살 감소
    • 취업연령에 대한 압박감 감소
    • 한국식 나이, 만 나이 중복 기재 방지
    • 연령 제한 보험적용, 백신 접종 대상 등의 연령문제 혼란 감소

이것으로 '만 나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참고하면 좋은 글 ]

 

수면내시경 준비 사항과 비수면내시경 차이점

많은 분들이 12월이 되면 그동안 미뤄 뒀던 건강검진을 받기 위해 계획들을 세우는데요. 건강검진에서 가장 신경 쓰이는 항목이 바로 위와 대장 등을 검사하는 내시경입니다. 이번에는 수면내시

suby33.tistory.com

 

추석 한글날 대체공휴일과 휴일근로 수당 계산법

2022년 추석과 한글날에는 대체공휴일이 적용되는데요. 추석은 9월 9, 10, 11일인데 11일이 일요일로 공휴일이기 때문에 12일 대체휴일로, 한글날은 10월 9일이 일요일이라 10일이 대체휴일로 지정되

suby33.tistory.com

 

상병수당 아플때 유급휴가 제도 신청하기

코로나로 인해 상병수당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요. 코로나 격리기간처럼 질병으로 인해 경제활동이 어려운 분들에게 나라에서 소득을 지원해주는 상병수당 제도가 전국 6개 지역에서 시범

suby33.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